최근 K-푸드 글로벌 확산에 새로운 국면이 요구되고 있다. 미국 뉴욕한국문화원에서 24일(현지시간) 개최된 K-푸드 현장간담회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맞물려, 그동안 K-푸드가 해외 시장에서 직면해온 실질적인 어려움들을 진단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혜경 여사가 참석하여 K-푸드 관계자들과 직접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과정에서 K-푸드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단순한 인지도 상승을 넘어, 현지 소비자들의 입맛과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전략’이 시급하다는 점이 부각되었다. 또한, 현지 유통망 확보 및 마케팅 지원 부족 등 실질적인 사업 추진 과정에서 발생하는 애로사항들이 제기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이번 간담회는 K-푸드 업계의 고충을 직접적으로 파악하고 정부 차원의 지원 방안을 구체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김혜경 여사는 참석자들과 심도 깊은 대화를 나누며 현장의 생생한 의견을 수렴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K-푸드 브랜드의 해외 시장 안착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현지 소비 트렌드 분석 및 맞춤형 상품 개발 지원, 효과적인 유통 채널 구축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이번 현장 간담회를 계기로 K-푸드의 글로벌 시장 경쟁력은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정책적 지원과 업계의 끊임없는 혁신이 조화를 이룬다면, K-푸드는 세계인의 식탁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문화 콘텐츠로서 확고히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K-푸드 관련 정책 결정 과정에서 이번 간담회에서 제기된 문제점들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기를 전망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