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학기부터 중·고등학교의 수행평가 방식에 중대한 변화가 생긴다. 과도한 사교육 의존과 ‘벼락치기’식 학습 부담을 줄이기 위해, 모든 수행평가가 수업 시간 내에서만 이루어지도록 제도가 개정된 것이다. 이는 단순히 평가 방식을 바꾸는 것을 넘어, 교육의 본질인 학생 성장 중심의 과정 평가로 무게중심을 옮기려는 교육부의 의지가 담겨 있다.
기존의 수행평가는 지필평가와 더불어 성적 변별력을 높이는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때로는 시험보다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학원 등을 통해 답안지를 미리 작성하거나 과제를 완성해 오는 등 편법적인 준비 과정이 만연했고, 이는 학생들에게 상당한 학습 스트레스를 유발했다. 또한, 지필평가 직전이나 직후에 집중적으로 수행평가가 몰려 평가의 본래 취지를 살리기 어렵다는 지적도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교육부는 이번 제도 개편을 추진하게 되었다.
새롭게 개정된 수행평가 제도는 ‘과정 중심 평가’로의 전환을 핵심으로 한다. 더 이상 외부 요인의 개입 가능성이 높은 과제형이나 암기식 수행평가는 지양되며, 수업 시간 안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에 중점을 두게 된다. 교육청은 학교별로 자체 점검표를 활용하여 평가 계획을 개선하고, 매 학기 시작 전 학교의 평가 계획을 점검함으로써 이러한 방침이 제대로 이행되도록 관리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변화는 여러 교과목에서 관찰된다. 예를 들어, 국어 교과에서는 기존의 작문이나 암기식 문답지 풀이 방식에서 벗어나, 조를 이루어 토론하는 형식이 늘어나고 있다. 학생들은 수업 시간에 주어진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발상하고, 이를 논리적인 글로 정리하는 활동을 통해 창의력과 사고력을 키우게 된다. 수학 교과 역시 단순한 정답 찾기에서 벗어나, 문제 해결 과정 자체를 중점적으로 평가한다. 학생들은 문제를 탐구하고 질문을 작성하며 과정을 모아 포트폴리오 형태로 평가받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학생들이 단순히 지식을 암기하는 것을 넘어, 탐구하고 사고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회, 과학, 미술 등 주요 교과 외 다양한 과목에서도 이러한 과정 중심 평가가 도입될 예정이다.
이러한 수행평가 제도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학생들은 ‘평상시 공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2학기부터는 밤샘 공부를 통해 단기간에 외우는 방식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되었다는 것이다. 평상시 수업에 집중하고 모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가 중요해졌으며, 이러한 습관이 몸에 배면서 오히려 집에서 급하게 공부하는 시간이 줄었다는 경험담도 나오고 있다. 수행평가의 본래 취지는 학생의 성장 과정과 변화를 면밀히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별화된 교육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번 제도 개편을 통해 학생들이 암기식 학습의 부담에서 벗어나, 수업 시간 내에서의 적극적인 참여와 탐구를 통해 더욱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을 쌓아나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