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해 대형 화재와 붕괴사고와 같은 복합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국가 차원의 재난 관리 패러다임 전환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복합 재난은 기존의 재난 대응 방식을 넘어서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요구하며, 특히 인공지능(AI)과 같은 첨단 과학기술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수적인 시대가 도래했다. 정부 역시 과학기술과 디지털 전환을 핵심 동력으로 삼아 재난 및 안전 대응체계를 강화하는 것을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기 위한 전략적 판단에 기반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소방청은 급격히 심화하는 기후위기와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기존의 자율기구였던 소방과학기술과를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로 개편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은 기존의 재난 대응 방식으로는 한계가 드러나고 있는 복합 재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미래 재난에 대한 선제적이고 유연한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핵심적인 조치다.
새롭게 출범하는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는 단순히 기존의 업무를 계승하는 것을 넘어, 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재난 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둘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소방현장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첨단 장비의 연구개발 및 기획 업무를 수행함은 물론, 소방 정책 수립 및 실행 과정에 인공지능을 비롯한 최신 과학기술을 적극적으로 접목하는 과제를 발굴하고 기술적인 지원까지 담당하게 된다. 이는 곧 소방청이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재난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국민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하는 것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소방정책은 기후위기 시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수단”이라고 강조하며, “선제적이고 유연한 조직 혁신을 통해 미래 재난에 강한 안전사회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이는 이번 조직 개편이 단순한 형식적인 변화를 넘어, 미래 재난 환경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철저한 준비를 바탕으로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의 신설은 앞으로 급변하는 재난 환경 속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첨단 기술과 과학적 분석에 기반한 소방 정책의 성공적인 실행은 궁극적으로 우리 사회를 더욱 안전하고 resilient하게 만드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