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라는 단어는 익숙하지만, 그 실체에 대한 오해와 막연한 두려움은 여전히 우리 사회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2025년 현재 97만여 명에 달하는 노인 치매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20년 뒤에는 2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치매는 더 이상 개인이나 가족만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 차원의 해결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9월 21일 ‘치매극복의 날’은 단순히 기념일을 넘어, 치매 극복을 위한 국가적 역량 결집과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촉구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고 있습니다.
지난 2011년 「치매관리법」 제정을 통해 치매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전국 256곳의 치매안심센터는 치매가 개인을 넘어 지역 공동체, 나아가 국가가 함께 풀어야 할 문제임을 명확히 보여주는 상징입니다. 중앙치매센터 누리집(nid.or.kr)에 제시된 ‘치매가 있어도 살기 불편하지 않은 나라, 치매로부터 가장 먼저 자유로워지는 대한민국’이라는 비전은 이러한 국가적 의지를 반영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국민들이 치매에 대한 정확한 정보 부족과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치매극복의 날’을 기념하여 전국 지자체 치매안심센터에서는 치매 인식 개선과 예방 및 극복을 위한 다채로운 행사가 개최되었습니다. 지역 협력 의사와 함께하는 ‘기억을 톡톡(talk talk) 토크콘서트’와 ‘치매극복 4행시 짓기 이벤트’는 시민들이 치매에 대해 보다 쉽고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입니다. 특히, 토크콘서트에서 강연을 진행한 지역 공공병원 협력 의사의 “치매 진단을 받으시고 약을 드시면 그 속도를 얼마든지 늦출 수 있습니다”라는 말은, 드라마 속 심각한 치매 상태만이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을 명확히 하며 치매에 대한 기존 인식을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더불어 치매는 시간이 지나면서 시간, 장소, 사람 순서대로 인지 능력에 변화가 온다는 점, 건망증과는 달리 시간이 지날수록 악화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는 점, 그리고 치매가 암보다 흔하다는 사실 등은 치매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돕고 있습니다.
치매안심센터는 치매 관련 상담 및 조기 검진 서비스를 제공하고, 치매 환자로 등록된 경우 치매 치료 관리비 지원 등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가족 중에 치매가 의심되는 경우, 당황하지 않고 지역 치매안심센터를 가장 먼저 방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매, 혼자는 두렵지만 치매안심센터와 함께라면 극복할 수 있습니다.’라는 메시지는 치매 극복을 위한 개인의 노력과 더불어,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이러한 인식 개선과 적극적인 정보 활용이 동반될 때, 대한민국은 ‘치매로부터 가장 먼저 자유로워지는 나라’라는 비전을 실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