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일상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문화 예술을 향유할 기회가 부족하다는 문제는 오래도록 지적되어 왔다. 특히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극장 방문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시민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예술을 더욱 가깝고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국립극단이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낮의 명동극’이라는 이름의 거리예술 공연을 선보이며 시민들에게 새로운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고 나섰다.
국립극단은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매주 수요일 정오,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시민들을 위한 다채로운 거리 예술 공연을 펼친다. 이번 공연은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남녀노소 누구나 무료로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가진다. 이는 단순히 공연을 관람하는 것을 넘어,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걸음을 멈추고 도심 한복판에서 예상치 못한 예술을 만나는 특별한 문화적 휴식을 제공하려는 국립극단의 노력을 보여준다.
국립극단은 1950년 창단 이래 한국 연극계를 대표하는 기관으로서 꾸준히 질 높은 작품을 선보여 왔다. 올해는 ‘365일 열려있는 극장’이라는 포부를 밝히며 ‘한낮의 명동극’ 외에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화요일 오후 7시 30분에는 ‘명동人문학’ 강연을, 매월 넷째 주 토요일 오전 11시에는 명동예술극장의 역사와 제작 과정을 엿볼 수 있는 ‘백스테이지 투어’를 운영하며, 이 모든 프로그램은 무료로 제공된다.
특히 지난 8월 27일 ‘문화가 있는 날’에 진행된 인형극 <곁에서> 공연은 이러한 국립극단의 노력이 현장에서 어떻게 실현되는지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공연 시작 안내가 나오자 명동 거리를 오가던 시민들의 발걸음이 자연스럽게 멈췄다. 처음에는 호기심 어린 시선으로 바라보던 시민들은 점차 공연 이야기에 몰입했으며, 단 한 명의 연주자와 가야금 선율, 그리고 다양한 소품만으로도 야외마당은 하나의 작은 극장으로 변모했다. 과감한 연출과 무대와 객석의 경계를 허무는 상호작용은 관객들에게 단순한 수동적 관람이 아닌, 공연의 일부가 되는 강렬한 예술 경험을 선사했다. 아이와 함께 공연을 본 한 관객은 ‘예상치 못한 선물을 받은 기분’이라며 만족감을 표했다.
‘한낮의 명동극’은 국민들이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정된 ‘문화가 있는 날’의 취지와도 맥을 같이 한다. 거리예술 공연은 극장의 문턱을 낮추고 잠재적인 관객층을 확대하는 데 크게 기여한다. 시간을 내 극장을 방문하기 어려웠던 직장인, 관광객, 그리고 우연히 길을 지나던 시민들까지 모두가 관객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예술은 삶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된다. 약 20~40분의 공연 시간은 점심시간을 활용하기에도 적절하며, 별도의 예매 절차 없이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다만, 폭우가 예보될 경우 공연은 중단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
남은 ‘문화가 있는 날’ 공연은 9월 24일과 10월 29일에 예정되어 있으며, 국립극단 누리집 및 공식 SNS에서 자세한 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국립극단 방문이 어려운 경우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을 통해 전국 각지에서 진행되는 ‘문화가 있는 날’ 혜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할인 혜택, 국공립 시설 무료 개방, 도서관 대출 혜택 등 다양한 문화 접근 정보를 항목별로 제공하여 이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혜택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매월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을 100% 즐기고 싶다면 명동으로 발걸음을 옮기거나, 거주 지역의 문화 혜택을 살펴보는 것은 삶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작은 쉼표가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