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계 자산의 부동산 쏠림 현상이 심화되면서 노후 대비 자산관리에 대한 근본적인 점검이 시급해지고 있다. 한국은행의 2023년 기준 통계에 따르면, 구매력평가환율로 계산한 우리나라 가구당 순자산은 62만 달러(약 8억 4800만 원)로 일본(52만 2000달러, 약 7억 1400만 원)을 앞질렀다. 시장환율로 계산한 순자산 역시 우리나라가 44만 3000달러(약 6억 6000만 원)로 일본(42만 1000달러, 약 5억 7600만 원)보다 높았다. 이는 표면적으로 우리나라 가계가 일본 가계보다 더 부유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이 통계 이면에는 심각한 문제가 숨어 있다.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계 자산의 무려 75%가 부동산에 편중되어 있으며 금융자산은 25%에 불과하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 세대의 경우, 자산의 80~90%가 부동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부동산 비중이 30~40%에 불과하고 금융자산 비중이 60~70%에 달하는 일본, 미국 등 선진국 가계의 자산 구조와는 정반대의 모습이다. 즉, 우리의 ‘부자’라는 인식은 자산의 상당 부분이 부동산 가격 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경우 노후 생활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 수십 년간 일본이 경험했듯이, 인구 감소와 고령화, 경제 불황 등은 부동산 가격의 장기적인 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남한의 면적 대비 토지 자산 규모가 땅 넓이가 약 4배인 일본과 비슷하거나 더 큰 수준이라는 점은 이미 부동산 가격이 매우 높게 형성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2023년 기준 우리나라 토지 자산 규모는 1경 2093조 원이었던 반면, 일본은 1348조 엔으로 당시 환율로 계산해도 1경 1593조 원에 달한다. 이는 한국 땅 한 평의 가격이 일본 땅 네 평 가격과 맞먹는다는 계산이 나온다. 1980년대 후반 극심한 부동산 버블을 겪었던 일본의 토지 자산 규모가 당시 우리나라의 15배에 달했던 점을 감안하면, 최근 수십 년간 한국의 땅값이 얼마나 가파르게 상승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부동산 편중 자산 구조는 노후 대비 자산관리의 근본적인 원칙을 위배한다. 투자에는 항상 위험이 따르므로, 자산이 특정 자산에 집중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강창희 행복100세 자산관리연구회 대표는 “갖고 있는 재산의 대부분이 부동산에 편중되어 있다면 부동산의 비중을 줄이고 금융자산의 비중을 늘려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퇴직 무렵에는 선진국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부동산과 금융자산의 비중을 반반 정도로 맞추는 것이 이상적이라는 분석이다. 또한, 과도한 부채를 안고 주택을 구입하는 행위는 더욱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일본은 1980년대 후반 부동산 버블 붕괴 이후 인구 감소와 고령화, 경제 불황을 겪으며 부동산에 대한 인식이 크게 변화했다. ‘집 없으면 어때? 빌려 살면 되지’라는 인식이 강해졌고, 금융자산 활용 등 합리적인 자산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여전히 ‘무조건 집을 사야 한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이미 90%를 넘어선 도시화율, 그리고 일본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저출산, 고령화 추세를 고려할 때, 현재의 부동산 편중 자산 구조는 10~20년 후 노후 생활에 심각한 불안 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따라서 지금부터라도 노후 대비 관점에서 자산관리 원칙을 준수하며 부동산 비중을 줄이고 금융자산 비중을 늘려나가는 전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