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9월 6일은 자원순환의 날이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은 여전히 많은 시민들에게 헷갈리는 문제로 남아있다. 어떤 폐기물은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하고, 어떤 폐기물은 별도 수거 대상인지 명확히 구분하기 어려워 재활용률 저하와 환경 오염을 야기하는 근본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분리배출의 어려움과 혼란을 해소하고, 시민들의 자원순환 실천을 돕기 위해 환경부가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을 개설했다.
새롭게 개설된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은 총 4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시민들이 겪는 분리배출의 어려움을 다각적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먼저 ‘분리배출 개요’ 항목에서는 단순히 분리배출 방법만을 나열하는 것을 넘어, 우리가 버린 폐기물이 실제 재활용 과정을 거쳐 새로운 제품으로 탄생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골판지류, 유리병, 전지 등 다양한 재활용 가능 자원이 어떤 과정을 통해 옷, 신발, 페트병 등으로 재탄생하는지 시각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시민들이 분리배출의 중요성을 피부로 느끼고 실천 의지를 높일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오염되거나 잘못 분류된 플라스틱이 결국 소각되거나 매립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명확히 인지시킴으로써, 귀찮더라도 정확한 분리배출에 대한 책임감을 고취시킨다.
특히, 시민들이 가장 헷갈려하는 음식물 쓰레기와 코팅된 종이류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치킨 뼈, 조개 껍데기, 각종 씨앗류, 알·견과류·곡류·콩류·채소류의 껍질뿐만 아니라 복어 내장, 한약 및 차류 찌꺼기까지 일반 종량제 폐기물로 처리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정보는 그동안의 혼란을 상당 부분 해소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마찬가지로 택배 송장, 전단지, 종이호일 등 종이류로 분류하기 애매했던 품목들이 일반 종량제 폐기물로 배출해야 한다는 명확한 기준 제시 또한 올바른 분리배출 실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더 나아가 ‘지역별 분리배출 안내’ 항목은 각 지자체 누리집으로 바로 연결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거주하는 지역의 배출 시간, 장소, 종류, 그리고 과태료 부과 기준까지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높였다. 이는 지역별로 상이한 분리배출 규정으로 인한 혼란을 최소화하고, 지정된 장소와 시간에 맞춰 올바르게 배출함으로써 쓰레기 배출 현장의 혼잡함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객지원’ 항목의 Q&A는 페트병 압착 후 뚜껑을 닫아 배출하는 이유를 ‘수거 효율 증대’로 명확히 설명하며, 시민들이 궁금해하는 사소한 부분까지 해결해 준다.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의 개설은 분리배출의 어려움이라는 오랜 문제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 누리집을 통해 시민들은 분리배출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올바른 분리배출 습관을 형성함으로써 재활용률을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환경 보호에 기여하는 자원순환 사회로 나아가는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딜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