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공지능(AI)은 우리 사회 전반의 혁신을 이끄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제조업 분야는 AI 기술을 통해 효율성과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며 국가 경쟁력의 중요한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는 AI 세계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의 일환으로 ‘제1회 산업 AI 엑스포’가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지난 9월 4일부터 6일까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한 이번 행사는 ‘AI와 산업의 융합, 새로운 산업혁명을 이끌다’라는 주제 아래, 국내 100여 개 기업이 참여하여 산업 현장에 적용되는 혁신적인 AI 솔루션을 대거 선보였다. 참석자들은 ‘피지컬 온 디바이스 AI 도슨트 투어’에 참여하며 AI가 실제 산업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활용되는지를 생생하게 체험했다. 이 투어는 AI 개발 환경을 위한 워크스테이션부터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 및 운송 로봇에 이르기까지 총 6가지 코스로 구성되어 AI 기술의 다양한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HP 코리아는 고성능 CPU와 맞춤형 GPU를 탑재한 데스크톱을 선보이며 AI 개발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모빌린트는 기존 GPU보다 AI 연산에 훨씬 최적화되어 전력 비용을 60%까지 절감할 수 있는 NPU(Neural Processing Unit)를 선보였다. 또한, 에이 로봇은 AI를 탑재한 휴머노이드 로봇 ‘에릭스’가 주사위 게임이나 물통 전달과 같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시연했으며, 클레비는 초거대 언어 모델 기반 AI를 드론과 로봇에 적용하여 사람이 하는 동작을 그대로 복제하는 놀라운 기술을 선보였다.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AI 적용 사례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 공정에서 로봇 팔에 들어가는 AI를 개발하는 스포티는 평면뿐만 아니라 곡면에서도 나사를 정확하게 맞추는 기술을 시연하며 소량 맞춤 생산 시스템에 최적화된 AI의 뛰어난 대처 능력을 입증했다. 농업 현장에서는 블루베리를 운송하는 로봇 ‘일로’가 소개되어, AI가 농업 분야의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력한 대안임을 제시했다.
이와 더불어, AI와 디지털 트윈 기술의 결합은 산업 현장의 안전과 정확성을 한 차원 높이는 데 기여했다. 사무실에서 공장의 모든 설비를 가상공간으로 구현한 디지털 트윈을 통해 현장 설비의 실시간 생산 상태와 불량 이미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현장 사고 예방 및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AI 기술은 인간의 판단을 보조하고 예측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하며, 나아가 인간의 지능을 확장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지난 9월 8일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가 출범하면서 AI는 명실상부한 국가 전략 기술로 더욱 확고히 자리매김했다. 정부는 11월까지 ‘대한민국 AI 액션플랜’을 수립, 발표할 예정이며, 이는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비록 산업 AI가 아직 걸음마 단계라고 평가받고 있지만, 이번 산업 AI 엑스포를 통해 보여준 AI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은 우리 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고 국가 발전을 이끄는 강력한 원동력이 될 것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