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교실에서 학생들의 공통적인 고민거리로 수행평가가 자주 언급되고 있다. 과거에도 지필평가와 함께 수행평가는 성적 변별력을 높이기 위한 주요 평가 항목이었으나, 때로는 단순 암기나 외부 도움에 의존하는 편파적인 준비 과정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2025년 2학기부터 중·고등학교 수행평가가 전면적으로 개정되면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학생들의 과도한 수행평가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교육부의 수행평가 제도 개편은 기존의 암기식, 과제형 평가에서 벗어나 ‘과정 중심 평가’로의 전환을 핵심으로 한다. 교육청은 학교별 평가 계획을 매 학기 시작 전에 자체 점검표를 통해 개선하고, 외부 요인의 개입 가능성이 높은 과제형 및 암기형 수행평가가 운영되지 않도록 철저히 점검할 방침이다. 이러한 변화는 학생들이 수업 시간 내에 모든 수행평가를 진행하게 됨으로써, 학원 등의 사교육 의존도를 낮추고 학습의 본질에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실제로 정책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의 반응은 긍정적이다. 국어 교과에서는 조를 이루어 토론하며 자유로운 발상을 도모하는 수행평가가 늘었고, 수업 시간 내 주어진 주제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정리하는 활동이 활발해졌다. 수학 교과 역시 단순한 답을 요구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문제 해결 과정을 중점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학생들은 이제 문제를 푸는 것을 넘어, 탐구 과정을 기록하고 질문을 작성하는 포트폴리오 형식의 평가를 통해 깊이 있는 학습 경험을 쌓아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 학생들은 ‘평상시 공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2학기부터는 밤샘 공부를 통해 단기간에 암기하는 방식 대신, 평상시 수업에 집중하고 모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자세가 중요해졌다. 수업 시간 내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에 경청하고 몰입하는 과정 자체가 수행평가 준비로 이어지면서, 오히려 집에서 급하게 공부하는 일이 줄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 중심 평가는 주요 교과목뿐만 아니라 사회, 과학, 미술 등 다양한 교과로 확대될 예정이다.
수행평가의 본래 취지는 학생의 성장 과정과 변화를 면밀히 관찰하여 개별화된 교육을 제공하는 데 있다. 2025년 2학기부터 시행되는 새로운 수행평가 제도는 학생들이 암기식 학습의 부담에서 벗어나, 수업 시간 내에서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깊이 있는 학습을 경험함으로써 진정한 성장과 변화를 이룰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