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정부의 데이터 관리 방식이 인공지능(AI) 발전의 근본적인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AI의 핵심 역량은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하여 잠재된 패턴을 찾아내는 것인데, 현재 정부의 파편화되고 접근이 어려운 데이터 관리 시스템으로는 AI의 지능 격차가 심화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현재 정부 부처 내에서 데이터는 D 드라이브와 같은 로컬 저장 공간에 파편화되어 저장되는 경우가 많다. 특정 담당자가 자리를 비우거나 퇴사할 경우, 해당 데이터에 접근하기 어려워지며, 이 과정에서 데이터와 함께 축적된 맥락, 암묵지, 업무 과정 등이 사라질 위험이 크다. 이는 미래에 공무원들이 활용해야 할 AI의 발전 가능성마저 불투명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뿐만 아니라, 높은 사람에게 보고되는 보고서가 대부분 1페이지로 축약되고, 음슴체와 같이 간결성을 강조하는 문체가 선호되는 관행 또한 문제로 지적된다. 이는 마치 숫자를 세 번 굴려 6이 나왔다고 해서 ‘이 주사위는 6이 많이 나온다’고 성급하게 결론 내리는 ‘과적합’과 유사한 오류를 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즉, 적은 정보로 성급한 판단을 내리게 되는 위험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는 세계 최고 수준의 AI 기술을 개발하는 실리콘밸리의 방식과는 대조적이다. 아마존과 같은 기업에서는 ‘6 페이저(6 Pager)’라는 회의 규칙을 통해 구성원 모두가 6페이지 분량의 메모를 작성하여 공유하고, 회의 시작 30분 동안 모두가 이를 정독하는 문화를 갖고 있다. 이 메모는 도입부, 목표, 원칙, 사업 현황, 교훈, 전략적 우선순위, 부록 등으로 구성되며, 완전한 문장과 서술체로 작성된다. 이는 불필요한 사고를 숨기기 어렵게 만들고, 더 나은 사고와 중요한 것에 대한 이해를 강제하기 때문이다.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는 파워포인트의 불릿 포인트 뒤에 엉성한 사고가 숨겨질 수 있음을 지적하며, 서술 구조를 가진 완전한 문장 작성을 강조했다.
실리콘밸리의 협업 시스템은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며, 위키 엔진을 활용한 공개 게시판을 원칙으로 한다. 재무 및 인사 부서를 제외한 대부분의 부서가 게시판을 공개 설정하여, 모든 참가자가 논의 과정과 자료를 공유하며 ‘맥락’을 이해할 수 있다. 이는 문서를 공유하는 것을 넘어 ‘맥락’을 공유하는 시스템이며, AI가 학습하기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정부의 데이터 관리 방식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파편화된 데이터만을 제공받는 조직과 모든 맥락과 참고 자료까지 제공하는 조직 간의 AI 지능 격차는 더욱 벌어질 수밖에 없다. 1페이지 보고서와 같은 단기적 효율보다는 총소유비용(TCO)을 고려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요 결정이 필요한 보고서는 반드시 서술체로 작성되어야 한다. 이는 엉성한 사고를 숨기는 것을 방지하고, 더 나은 사고와 중요한 것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AI 학습과 맥락 공유에 백만 배 더 나은 환경을 제공할 것이다. 대한민국 공무원들은 훨씬 더 뛰어난 AI를 활용할 자격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 관리 및 보고 문화 전반의 근본적인 혁신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