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심각한 환경 문제와 지역 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했던 폐기물 소각장이 이제는 시민들이 즐기는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 재탄생했다. 또한, 가난과 허기를 달래기 위해 개발된 음식이 현재는 일상이자 별식이 되었다. 이는 과거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낸 두 가지 사례를 통해, 오랜 시간 인내하고 노력하면 반드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교훈을 전한다.
과거 부천시는 심각한 쓰레기 처리 문제에 직면해 있었다. 1992년, 부천 중동 신도시 건설과 함께 환경부의 지침에 따라 부천 삼정동에 쓰레기 소각장 설치가 결정되었고, 1995년 5월부터 본격적으로 가동을 시작했다. 이 소각장은 하루 200톤에 달하는 서울과 수도권의 쓰레기를 처리하며 도시의 골칫거리를 해결하는 듯 보였다. 그러나 1997년, 환경부의 조사 결과 삼정동 소각장에서 허가 기준치의 20배에 달하는 고농도 다이옥신이 검출되면서 큰 파장이 일었다. 마을 주민들과 환경 운동가들은 지역민들의 건강과 생명을 담보로 엄격한 관리 기준 수립과 소각장 폐쇄 운동을 벌였고, 결국 2010년 대장동 소각장으로 폐기물 소각 기능이 이전 및 통합되면서 삼정동 소각장은 가동을 중단하게 되었다. 한때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는 듯했던 시설은 이제 폐허가 되어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하지만 이곳 삼정동 폐소각장은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의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선정되면서 운명을 바꾸었다. 2018년, 이곳은 복합문화예술공간 ‘부천아트벙커B39’로 새롭게 문을 열었다. 약 33년 전 쓰레기를 태우던 거대한 굴뚝과 소각로는 이제 하늘과 채광을 가득 끌어들이는 ‘에어갤러리(AIR GALLERY)’로 변모했으며, 쓰레기 저장고였던 벙커는 ‘B39’라는 이름의 모티브가 되는 핵심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쓰레기 수거 트럭이 쓰레기를 쏟아내던 반입실은 멀티미디어홀(MMH)로, 펌프실, 배기가스처리장, 중앙청소실 등은 아카이빙실과 전시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RE:boot 아트벙커B39 아카이브展’은 다이옥신 파동과 시민운동의 역사를 생생하게 그려내며, 소각장이 어떻게 주민들과 함께 즐기는 문화예술공간으로 변모하게 되었는지 그 감동적인 과정을 보여준다.
한편, 과거 가난과 허기를 이겨내고자 개발된 음식이 이제는 우리 곁에 흔하게 자리 잡은 일상이자 별식이 되었다. 특히 감자탕과 뼈다귀해장국은 개발도상국 시절의 애환이 담긴 음식이다. 인천 미군 부대에서 유통된 돼지 뼈다귀를 활용해 개발된 이 음식은, 당시 주머니 사정이 가벼운 서민들이 저렴하게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메뉴였다. 현재는 수입 돼지고기의 발달로 뼈다귀에 붙은 살이 더욱 풍성해져, 시대를 역행하는 가격으로 푸짐한 한 끼를 제공하고 있다. 1988년 부천시 원미동에서 시작된 한 파란 지붕 가게의 뼈다귀해장국은 깍두기와 함께 시원하고 달큼한 맛으로 입맛을 돋운다. 뚝배기에 팔팔 끓여 나오는 화끈하면서도 깊은 맛의 해장국은 소고기 스테이크 부럽지 않으며, 맑고 깨끗한 국물은 가볍고 산뜻한 맛을 선사한다. 외국인들 역시 깻잎 향과 들깨 향이 어우러진 감자탕의 매력에 빠져들고 있으며, 이는 K-푸드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이처럼 부천아트벙커B39와 감자탕은 과거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낸 대표적인 사례이다. 쓰레기 처리장이 문화예술복합공간으로, 그리고 가난의 유산이었던 음식이 일상이자 별식이 된 것처럼, 오랜 시간 인내하고 노력하면 어떤 어려움도 극복하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다는 희망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