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거주 시절, 낯선 외국 땅에서 한국을 알리는 작은 외교관이 되었던 경험은 이제 ‘공공외교’라는 이름으로 국민 모두에게 열려 있다. 한류의 열풍 이전에도 한국 문화에 대한 호기심으로 한국을 찾았던 외국 친구들의 이야기는, 정부 간의 틀을 넘어 문화와 예술을 통해 국민 간의 신뢰와 호감을 쌓는 ‘공공외교’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공공외교의 중요성과 실제 현장을 국민이 직접 체감할 기회는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외교부와 한국국제교류재단(KF)은 국민이 직접 참여하여 문화와 예술을 통해 국제사회와의 관계를 증진할 수 있는 ‘제7회 공공외교주간’을 개최했다. 올해로 7회를 맞이한 이 행사는 9월 8일부터 27일까지 KF 글로벌센터와 각 대사관, 서울광장 등 다양한 장소에서 열리며, 워크숍, 포럼, 전시, 공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우리나라의 공공외교 현장과 문화를 한자리에서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행사는 참여자들에게 서로의 나라를 깊이 이해하고 국제사회 협력의 기반이 되는 호감과 신뢰를 쌓을 기회를 제공한다.
공공외교주간의 다양한 프로그램 중, 필자는 딸과 함께 ‘콜롬비아 스페셜티 커피의 놀라운 세계’라는 워크숍에 참여했다. 성인이 되어 커피를 즐기게 된 딸은 콜롬비아 현지인에게 직접 커피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는 사실에 큰 기대를 보였다. 워크숍이 진행된 19층 세미나실에는 이미 많은 참가자들이 자리하고 있었고, 테이블 위에는 콜롬비아를 상징하는 전통 모자가 놓여 참가자들의 흥미를 자아냈다.
알레한드로 주한 콜롬비아 대사는 워크숍에서 커피의 역사와 콜롬비아 커피의 중요성, 그리고 콜롬비아 커피 여행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전했다. 그는 콜롬비아가 세 개의 산맥과 화산재 토양 덕분에 1년 내내 커피 재배가 가능하며, 손으로 수확한 100% 아라비카 원두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맛을 낸다고 설명했다. 또한, 천으로 된 필터에 커피를 거르고 ‘파넬라’라는 콜롬비아 설탕을 곁들여 마시는 방식은 참가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다. 커피가 일반 가정에서 시작되어 인스턴트 커피 개발과 세계 대전을 거치며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사실, 그리고 커피 재배 경관이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커피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다는 설명은 필자에게 광활한 콜롬비아 커피 농장 풍경을 상상하게 하며 방문 욕구를 불러일으켰다.
이어서 콜롬비아 커피 전문가인 강병문 씨는 커피 제조 과정 중 ‘워시드’ 방식을 콜롬비아가 선택한 이유를 비가 많이 오는 기후와 연결 지어 설명했다. 그는 간단한 시연과 함께 커피 내리는 과정을 쉽게 풀어냈고, 필자는 자신이 알고 있던 커피 지식 외에 몰랐던 새로운 사실들을 배우며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참가자들은 두 종류의 커피를 시음하며 각자의 취향에 맞는 커피를 찾아 이야기꽃을 피웠다.
커피를 매개로 한 교류는 더욱 깊은 이야기로 이어졌다. 커피 전문가는 콜롬비아가 6·25 전쟁 당시 파병으로 한국을 도왔던 나라임을 상기시키며, 무비자 협정 덕분에 한국과 콜롬비아 국민이 서로의 나라를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양국 간의 친밀감을 드러냈다. 콜롬비아 모자를 쓰고 환하게 웃으며 함께 사진을 찍는 참가자들의 모습은 17,800km라는 물리적 거리가 더 이상 중요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었다.
이번 공공외교주간은 외교부가 내년도 예산안에서 국민 참여형 공공외교 사업 확대와 신기술 활용 디지털 공공외교 강화를 밝힌 시점과 맞물려 더욱 의미를 더한다. 특히 올해 우리나라에서 크고 작은 국제 행사가 잇달아 개최되고, 곧 APEC 회의 개최국이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민간외교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외교는 더 이상 정부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국민의 지지와 참여 없이는 지속 가능한 외교가 불가능하며, 반대로 국민의 바람과 의견이 담긴 외교는 어떤 것보다 끈끈하고 강력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7회 공공외교주간’과 같은 행사를 통해 국민들이 공공외교의 의미를 깨닫고 스스로가 공공외교의 주체임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필자는 26일 열리는 스페인 행사에 아들과 함께 다시 한번 참여하여 이러한 경험을 이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