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유례없이 어려운 시기를 지나고 있다. 얼어붙은 경제 상황 속에서 자영업자들은 생존의 위협을 느끼고 있으며, 글로벌 경기 침체, 예측 불가능한 전쟁, 지정학적 불안정, 고물가, 고금리, 청년 실업,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 등 국가적 과제가 산적해 있다. 이러한 복합적인 위기 상황은 국민 개개인의 노력만으로는 극복하기 어려운 수준에 이르렀다. 특히 최근 발표된 자살률 통계는 전 국민의 정신건강이 심각한 위기 상황에 놓여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학생들은 입시와 취업 경쟁에 지쳐 미래에 대한 확신을 잃고 있으며, 어렵게 취업하더라도 불안정한 사회 속에서 늘 긴장감을 느끼며 작은 자극에도 짜증과 분노를 표출하기 일쑤다. 또한, 노인들은 질병, 경제적 어려움, 정서적 고립감 속에서 점점 더 사회에서 소외되고 있으며, 생산성만을 중시하는 사회 구조 속에서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이러한 총체적인 어려움은 마치 끝이 보이지 않는 긴 터널 속에 갇힌 듯한 답답함을 국민 사회 전반에 드리우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희망’을 이야기하는 것 자체를 사치로 느끼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신영철 정신건강정책 혁신위원회 위원장(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은 우리 안에 잠재된 ‘희망의 유전자’를 다시 꺼내들 때라고 강조한다. 현재 대한민국은 K-pop, K-drama, K-food 등 문화 콘텐츠를 통해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으며, BTS, 블랙핑크, 영화 ‘기생충’, ‘오징어게임’ 등은 한국 문화를 세계 중심 무대로 이끌었다. 이는 단순한 유행을 넘어 오랜 시간 축적된 창의성과 끈기, 노력의 결실이다. 경제적으로도 세계 10위권 경제 대국으로서 정보통신, 의료, 교육, 치안 등 여러 분야에서 선진국 반열에 올라섰다. 해외에서 온 이들은 대한민국이 가진 질서, 시민의식, 안전함에 놀라며, 밤늦게 거리를 활보하고 카페에 귀중품을 두고 자리를 비워도 되는 평범한 일상에 경탄한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적 풍요와 사회적 안전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행복지수’는 낮으며 정서적으로는 더욱 불안하고 고립된 사회가 되어가고 있다. 이는 너무 열심히 앞만 보고 달려온 대가일 수 있으며,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한 경제 성장이나 기술 발전이 아닌, 삶의 가치를 회복하고 지나온 삶을 돌아보며 잠시 여유를 갖는 일, 그리고 무엇보다 마음을 회복하는 일임을 시사한다.
신 위원장은 과거 전쟁의 폐허 속에서 산업화를 이루고 민주화를 성취했으며, 찢어지는 가난 속에서도 자녀 교육을 포기하지 않았던 우리 민족의 끈기와 저력은 단순한 운이 아닌, 우리 민족 속에 깊숙이 자리한 ‘희망의 유전자’ 덕분이라고 분석한다. 이제 우리는 이 어려운 현실 앞에서 주저앉을 것인가, 아니면 수많은 위기를 이겨낸 그 ‘희망의 유전자’를 다시 꺼내 들 것인가라는 질문에 직면해야 한다. 답은 분명하다. 우리는 이미 수없이 해냈으며, 맞서야 할 것은 외부의 위협뿐만 아니라 우리 스스로 마음속에 품은 불안과 두려움, 그리고 부정적인 생각임을 강조한다.
새 정부는 특정 지역이나 집단의 정부가 아닌 ‘우리의 정부, 우리의 대통령’으로서 국민들의 변화와 혁신에 대한 기대를 충족시켜야 한다. 정부는 국민의 희생과 열정을 기억하고, 이러한 열정과 에너지가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민이 가진 창의성, 근면성, 공동체 정신은 이 사회를 다시 한번 도약시킬 소중한 자산이며, 정부와 대통령은 국민을 믿고, 국민은 정부의 진정성과 방향성을 신뢰할 때 진정한 회복이 가능할 것이다. 우리 마음속에 존재하는 ‘희망의 씨앗’이 자라날 수 있도록 토양을 만들고 햇살을 비추는 일이 지금 가장 필요한 과제이다.
앞으로도 많은 난관이 예상되지만, 이제는 ‘혼자 버티는’ 시간이 아닌 ‘함께 걸어가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 앞만 보고 달려온 길 위에서 잠시 멈춰 옆 사람을 살피고, 지쳐 있는 누군가를 일으켜 세우며, 또한 누군가의 손에 의지해 일어설 수 있는 사회, 그것이 바로 건강한 사회이다. 우리 속에 간직한 ‘희망의 유전자’는 오랜 고난과 좌절 속에서도 살아남아 지금도 뜨겁게 살아 숨 쉬고 있으며, 이제는 그 유전자를 다시 꺼내 들 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