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는 흔히 역사의 섬, 호국의 섬으로 불리지만, 계절마다 다채로운 식재료와 더불어 잊혀진 직물 산업의 역사를 품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특히 ‘소창’이라는 이름으로 대표되는 강화의 직물 역사는 도시화와 산업화 속에서 희미해져 갔으나, 그곳에 깃든 억척스러운 여성들의 삶과 문화는 여전히 깊은 울림을 전한다. 이 글은 강화 직물 산업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그 안에 담긴 사람들의 이야기를 조명하며, 단순한 관광지를 넘어선 강화의 진정한 가치를 탐색한다.
강화는 과거 수원과 함께 국내 3대 직물 도시로 꼽힐 만큼 번성했던 역사를 지녔다. 1933년 ‘조양방직’ 설립을 시작으로 1970년대까지 60여 개가 넘는 방직공장이 성업했으며, 4,000명에 달하는 직공들이 이곳에서 일하며 지역 경제를 이끌었다. 당시 강화읍 권역에는 방직공장이 밀집해 있었고, 12시간씩 교대 근무하며 먼지 속에서 일하는 것이 많은 이들의 꿈이었을 만큼 직물 산업은 강화의 중요한 생계 수단이었다. 이러한 직물 산업의 역사를 보존하기 위해 폐교된 ‘동광직물’은 생활문화센터로, 1938년 건축된 ‘평화직물’ 터는 ‘소창체험관’으로 새롭게 단장되어 운영되고 있다.
소창은 목화솜으로 만든 실로 짠 천으로, 과거에는 옷감, 행주, 기저귀 등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소창을 만드는 과정은 다소 복잡하고 정성을 요구한다. 수입한 원사를 풀어 옥수수 전분으로 풀을 먹여 표백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거친 후, 씨실과 날실을 베틀에서 교차시켜 평직물로 완성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뽀얗고 부드러운 소창은 당시 강화 여성들의 억척스러운 삶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었다.
강화 여성들은 직접 생산한 방직물을 둘러메고 삼삼오오 짝을 지어 전국을 돌아다니며 판매하는, 이른바 ‘방판’을 통해 생계를 이어갔다. 중간 상인을 거치지 않고 직접 판매함으로써 마진을 높였지만, 그 과정은 결코 녹록지 않았다. 먼 길을 떠나며 배고픔을 달래기 위해 앞치마에 싸간 것은 쉰밥, 찬밥과 더불어 강화 특산품인 새우젓이었다. 낯선 곳에서 밥 한 덩이를 얻어 찬으로 곁들여 먹었던 새우젓은 그들에게 소중한 존재였으며, 이는 함민복 시인의 시 구절 “눈물은 왜 짠가, 새우젓은 왜 이다지 짠가, 우리네 인생은 왜 이렇게 애잔한가”에 오롯이 담겨 전해진다.
이처럼 강화의 직물 산업과 억척스러운 여성들의 삶은 새우젓과도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전국 물량의 70~80%를 차지하는 강화 새우젓은 드넓은 갯벌과 두 개의 거대한 강물이 만나는 지리적 이점 덕분에 맛이 월등하다. 짠맛보다는 들큼하면서도 담백한 맛이 특징인 강화 새우젓은 늦가을 김장철이면 섬을 들썩이게 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 또한, 강화 새우젓은 향토 음식 ‘젓국갈비’의 탄생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젓국갈비는 갈비나 배추, 두부 등의 재료가 어우러지지만, 그 맛의 핵심은 새우젓에서 우러나는 짭짤하면서도 감칠맛 나는 깊은 맛에 있다. 이는 대미필담(大味必淡), 즉 ‘큰 맛은 반드시 담백하다’는 격언을 떠올리게 하며, 인공적인 맛으로는 흉내 낼 수 없는 자연 그대로의 맛을 선사한다.
소창체험관과 동광직물 생활문화센터는 이러한 강화 직물 산업의 역사와 문화를 직접 체험하고 배울 수 있는 소중한 공간이다. 과거 방직 공장의 터전 위에 세워진 이 센터들은 단순한 전시 공간을 넘어, 강화 여성들의 억척스러움과 삶의 애환이 담긴 소창의 역사를 후대에 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곳에서 우리는 잊혀진 직물 산업의 영광을 되새기고, 그 속에서 살아 숨 쉬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강화의 진정한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