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는 세계적으로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를 보이며, 이는 필연적으로 치매 관련 사회적 부담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치매는 개인의 기억을 앗아갈 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의 일상생활까지 송두리째 흔드는 심각한 질병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국내 치매 환자 수는 이미 약 100만 명에 달하며, 2030년에는 15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는 “치매국가책임제”를 통해 치매 환자와 그 가족들이 겪는 경제적, 심리적 부담을 경감시키고 효과적인 돌봄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의 일환으로, 정부는 전국 256곳의 치매안심센터를 운영하며 치매 환자와 가족들이 가장 먼저 의지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망을 구축했다. 이곳에서는 무료 치매 검진, 인지 재활 프로그램, 가족 상담, 환자 돌봄 지원 등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맞춤형 사례 관리 모델이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각 개인의 생활 방식, 가족 구조, 소득 수준 등을 고려한 더욱 세밀하고 개인화된 관리가 가능해졌다. 또한, 치매안심센터 내 ‘쉼터’ 운영 대상을 기존 인지지원등급 환자에서 장기요양 5등급 환자까지 확대함으로써, 보호자들이 24시간 돌봄의 고통에서 잠시나마 벗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치매 예방 및 관리에도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최근 도입된 ‘오늘건강’ 앱은 약 복용 알림, 인지 퀴즈, 두뇌 훈련, 걸음 수 및 수면 패턴 기록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필요시 치매안심센터와의 데이터 연동을 통해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디지털 도구들은 고령층의 디지털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동시에, ‘기억을 지킨다’는 목표와 맞물려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치매 환자 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치매 치료 관리비 지원 대상의 소득 기준을 중위소득 120% 이하에서 140% 이하로 확대했으며, 일부 지자체에서는 소득 기준을 아예 폐지하는 등 더욱 많은 국민이 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기존 인지검사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들을 위해 설문형 평가 도구를 도입하는 등 정책의 포용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물론, 재정 여력이 부족한 농어촌 지자체에서 서비스 접근성이 떨어지거나 돌봄 인력이 부족한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하지만 치매극복의 날(매년 9월 21일)은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치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제고하고, 환자와 가족을 위한 사회적 연대를 다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다. 치매는 더 이상 개인이나 가족만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가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야 할 공동의 과제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정부의 지속적인 정책 지원과 치매안심센터, ‘오늘건강’ 앱과 같은 사회적 안전망의 확충은 치매 환자들이 인간다운 삶을 유지하고, 가족들의 부담을 덜어주며, 궁극적으로는 “치매와도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