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축제가 열리는 가운데, 국립극장에서 특별한 행사가 개최되고 있다. 9월 3일(수)부터 28일(일)까지, 국립극장은 <창극 중심 세계 음악극 축제>(이하 ‘세계 음악극 축제’)라는 이름 아래 동아시아 음악극의 흐름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축제의 장을 열었다. 이번 축제는 우리나라의 고유한 음악극인 창극을 중심으로, 동시대 음악극의 현재와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올해 처음으로 개최되는 제1회 축제로서, 향후 세계적인 음악극 축제로 발돋움하겠다는 국립극장의 포부를 엿볼 수 있다.
창극은 판소리를 바탕으로 하되, 여러 배우가 각 배역을 맡아 연극적인 형태로 공연하는 한국 고유의 음악극이다. 1900년대 초에 형성되어 오늘날까지 꾸준히 발전해 온 창극은 판소리의 노래와 사설, 몸짓 등 주요 요소를 활용하면서도, 1인극이나 2인극 중심인 판소리와 달리 다인극 형태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이러한 창극의 매력을 세계 무대에 알리고자 마련된 이번 ‘세계 음악극 축제’는 ‘동아시아 포커싱(Focusing on the East)’이라는 주제 아래,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전통 음악을 기반으로 한 총 9개 작품, 23회의 공연을 선보인다. 이는 4주간에 걸쳐 진행되는 것으로, 참가자들은 약 한 달간 풍성한 음악극의 향연을 즐길 수 있다.
축제의 개막은 국립극장 제작 공연인 국립창극단의 신작 <심청>이 장식했다. 고전 소설 <심청전>을 원작으로 한 <심청>은 효녀 심청의 이야기를 다루지만, 기존과는 다른 시각으로 재해석되었다. 2017년 ‘올해의 연출가’로 선정된 요나 김이 극본과 연출을 맡아, 자기희생적인 효심에만 초점을 맞추었던 기존의 해석에서 벗어나,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심청의 목소리를 담아냈다. 전통 판소리의 깊이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시선으로 재해석된 <심청>은 관람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으며, 이번 축제의 성공적인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다.
국립극장에서 열리는 이번 축제는 국내 작품뿐만 아니라 해외 초청작들도 만나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9월 13일(토)에는 홍콩의 월극 <죽림애전기>와 한국의 <정수정전>이 연이어 공연되었다. <죽림애전기>는 가면을 쓴 배우들이 서사에 맞춰 노래와 춤, 연기에 무술까지 선보이는 중국의 전통극으로, 2023년 홍콩 아츠 페스티벌에서 호평받은 작품이다. 위나라 말기부터 진나라 초기까지를 배경으로 죽림칠현 후손들의 삶을 그리며, 중국 광둥성을 기반으로 발전한 월극의 매력을 선보였다. 이 작품은 해외 관객들에게도 큰 관심을 받으며, 홍콩 단체 관광객들이 공연을 관람하기 위해 방문하기도 했다.
축제의 의미를 더하는 것은 다양한 문화 교류의 장이 마련된다는 점이다. 한국 문화를 공부하기 위해 유학 온 중국인 학생 호곤 씨는 <죽림애전기> 공연을 관람하며 작품이 가정과 국가의 측면을 아름답게 담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번 축제가 한국 문화 정책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보여주는 훌륭한 행사이며, 창극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음악극이 어우러져 다채로운 문화 교류를 이끌어내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한국 문화 콘텐츠가 세계화된 시각과 문화 수출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유럽과 미국의 장점을 흡수하여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는 점을 한국 문화의 특징으로 꼽았다. 그는 ‘세계 음악극 축제’가 동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로 확장되기를 기대하며, 향후 한중 문화 교류 사업에 참여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국내 초청작 <정수정전> 역시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했다. 조선 말, 자신의 이름으로 당당하게 살아가고자 했던 여성 정수정의 서사를 판소리와 민요를 통해 풀어낸 작품이다. 유교 사상이 팽배했던 당시 여성으로서 겪는 고충에도 불구하고 남장을 하고 과거 시험을 보는 등 홀로서기를 시도하는 정수정의 모습은, 당시 여성들의 애환을 대변한다. <정수정전>은 여성 영웅의 이야기이자, 한 인간이 자신의 이름을 지키며 꿋꿋하게 살아가는 모습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배우들이 작창과 창작에 참여하는 공동 창작 방식으로 제작되어 더욱 의미를 더했다. 공연 관계자는 이러한 민간 단체의 참여가 국립극장 무대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 기쁨을 표하며, 앞으로도 다양한 교류와 소통, 협업의 기회가 더 많아지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동아시아 포커싱’이라는 주제로 시작된 ‘세계 음악극 축제’는 동아시아 3개국의 전통 음악극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집중적으로 탐구하고자 하는 취지를 담고 있다. 국립극장 프로그램 외에도 광주아시아문화전당, 국립민속국악원 등 여러 기관의 연계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어, 더욱 풍성한 문화 교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국립극장은 향후 다양한 해외 작품 초청과 국내외 단체와의 협업을 통해 ‘세계 음악극 축제’를 전 세계 다채로운 음악극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글로벌 축제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관람객들을 위한 ‘부루마블’ 이벤트 등 즐길 거리도 마련하여 축제의 재미를 더하고 있다. 9월 28일까지 이어지는 이번 축제를 통해 관람객들은 동아시아 음악극의 깊이와 다양성을 경험하고, 그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