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릉과 궁궐을 잇는 여행 프로그램 「2025년 하반기 왕릉팔(八)경」이 오는 11월 10일까지 총 22회에 걸쳐 운영된다. 이 프로그램은 단순한 역사 유적 탐방을 넘어, 특히 대한제국 황실과 관련된 유적을 중심으로 근대 전환기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왕릉 답사가 포함되어 회차당 참가 인원이 25명으로 제한된다. 지난 8월 21일, 9월 25일, 10월 16일에 예약 일정이 있었으며, 오전 11시부터 네이버 예약을 통해 선착순으로 신청할 수 있다. 어르신, 장애인, 국가유공자는 전화 예약도 가능하다.
최근 ‘순종황제 능행길’ 코스에 참여한 기자는 늦여름의 변덕스러운 날씨 속에서도 조선왕릉이 가진 또 다른 매력을 발견했다. 이미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소중한 유적이지만, 직접 걸으며 배우고 느끼는 경험은 깊은 감동을 선사했다. 이번 여정은 구리 동구릉에서 시작하여 남양주 홍릉과 유릉까지 이어지며, 왕릉과 왕릉을 잇는 길 위에서 역사의 숨결을 따라가는 특별한 경험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이번 ‘왕릉팔경’ 프로그램은 조선 왕실 중심의 탐방에서 벗어나 대한제국 황실 관련 유적을 중심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이를 통해 조선과 대한제국의 왕릉 문화를 직접 비교하며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고, 근대 전환기의 격변하는 역사와 문화를 몸소 체험할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 될 것이다.
구리 동구릉은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을 비롯하여 선조의 목릉, 인조의 휘릉, 문종의 현릉, 경종의 혜릉, 영조의 원릉, 추존왕 문조의 수릉, 현종의 숭릉, 헌종의 경릉 등 총 9기의 왕릉이 모여 있는 조선 최대 규모의 능역이다. 이곳에서는 1408년 조성된 건원릉부터 현종의 숭릉까지 다양한 시대의 무덤이 자리하고 있으며, 해설사를 통해 능역의 구조, 제향의 의미, 그리고 능묘에 담긴 정치적 배경을 상세히 들을 수 있다.
특히 동구릉에서는 표석의 기원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도 접할 수 있다. 조선 전기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표석이 송시열의 상소를 통해 설치되기 시작했다는 설명은 왕릉 제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다. 송시열은 왕릉마다 해당 임금을 알 수 있는 표석을 세워 후대에 전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이러한 제안은 효종의 영릉에 최초로 적용된 이후 왕릉 제도에 확산되었다. 또한, 표석에 사용된 전서체 역시 송시열의 주장이 반영된 결과로, 왕릉의 표석 서체가 전서체로 정착되는 계기가 되었다.
‘순종황제 능행길’ 코스의 핵심은 순종 황제의 능행길이다. 순종은 대한제국의 제2대 황제이자 일제강점기에 조선의 마지막 황제가 된 비극적인 인물이다. 조선 시대 왕릉 제사는 사계절과 납일에 지내는 오향대제와 명절날 지내는 제사로 이어졌으나, 순종 황제 때인 1908년, 「향사리정에 관한 건」이라는 칙령을 통해 제사 횟수가 1년에 두 번으로 축소되었다. 종묘 정전에 모셔진 왕과 왕비의 능에는 명절제와 기신제를 모두 지냈지만, 정전에 모셔지지 않은 임금과 왕비의 능에서는 명절제 한 번만 지냈다. 명절제의 날짜와 관련해서는 한식날 제사가 원칙이었으나, 대한제국 선포 이후 예제 제도가 정비되면서 청명으로 바뀌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오늘날에는 명절제 대신 기신제가 중심으로 남아있으며, 이러한 제사의 단절 없는 계승은 조선 왕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동구릉에서 가장 높은 자리에 자리한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 봉분을 덮은 억새는 그의 유언에서 비롯된 전통이다. 태조는 생전에 고향의 억새를 가져와 무덤에 심어달라는 유훈을 남겼고, 그의 아들 태종이 이를 이행했다. 이 전통은 60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건원릉의 표석에는 ‘대한 태조 고황제 건원릉’이라 새겨져 태조의 위상을 황제로 격상해 전하며, 이는 왕릉 제도와 예제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다.
왕릉의 핵심 의례 공간인 정자각은 제물을 차리고 제사를 지내는 중심 건물이다. 이곳은 정청과 배위청을 합쳐 부르며, 계단은 제물, 제관, 왕이 오르는 길이 구분되어 있다. 정자각 앞에는 혼이 다니는 신로와 제관, 왕이 이용하는 어로가 분리되어 산 자와 죽은 자의 구분을 상징한다.
추존왕의 능은 생전에 왕이 아니었지만 아들이 왕위에 오르면서 추존된 경우를 말한다. 이들의 무덤도 ‘능’이라 불리지만 정통 왕릉과는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태조 건원릉에는 호랑이와 양 석상이 네 쌍씩 세워져 있지만, 추존왕의 능에는 절반만 배치하여 구분한다. 왕릉은 봉분이 있는 언덕인 망자의 영역과, 그 아래 제향 공간인 산 자와 죽은 자가 만나는 곳으로 나뉜다. 이곳에는 보통 임금의 업적을 기록한 신도비와 무덤의 주인을 알리는 표석이 세워졌다.
동구릉에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왕릉 중 유일하게 세 기의 봉분이 나란히 배치된 삼연릉이 있다. 이곳은 헌종과 두 왕비(효현왕후·효정왕후)가 합장된 능으로, 봉분이 세 기 나란히 조성된 것이 특징이다. 삼연릉의 비석에는 여러 차례 다시 새겨진 흔적이 남아있는데, 이는 효현왕후 서거 후, 헌종과 효정왕후가 잇달아 별세할 때마다 갈아내고 글씨를 다시 새겼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대한제국 선포 이후 ‘헌종성황제’라는 칭호를 새기기 위해 개각이 이루어졌고, 이로 인해 비석 표면이 뿌옇게 보이는 것이다.
남양주 홍릉과 유릉은 기존 조선 왕릉의 형식을 벗어나 대한제국 황릉의 양식을 따른다.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며 왕조에서 황제국으로 체제를 전환한 것처럼, 능의 조영 방식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석물의 배치, 봉분의 규모, 향어로의 장식은 모두 황제의 권위를 강조했지만, 그 화려함 속에는 주권을 빼앗긴 민족의 아픔이 깃들어 있었다. 홍릉 석물은 유릉보다 작고, 화강암 파손을 막기 위한 전통 기법이 반영되었다.
홍릉의 비각 표석은 대한제국과 일본 간의 갈등을 보여주는 역사적 맥락도 담고 있다. 일본은 비문 서두에 ‘前大韓(전대한)’이라는 표현을 넣자고 주장했으나, 대한제국은 ‘前’ 자를 용납할 수 없다며 강하게 반대했다. 결국 이 논쟁으로 표석은 수년간 방치되었으나, 홍릉 참봉 고영근이 일본의 눈을 피해 ‘大韓高宗太皇帝洪陵 明成太皇后附左(대한고종태황제홍릉 명성태황후부좌)’라는 비문을 완성했다.
홍릉과 유릉을 돌아보며 마주한 화려한 석물과 질서정연한 배치는 분명 위엄을 풍겼지만, 그 속에는 주권을 잃은 황제와 황후의 쓸쓸한 이야기가 함께 잠들어 있었다. 초등학생 참가자가 “역사학자가 되어 문화유산을 지키고 싶다”는 포부를 밝힌 것처럼, 이 길은 단순히 과거를 되짚는 시간을 넘어 미래 세대가 역사를 어떻게 기억하고 이어갈 것인가를 묻는 자리임을 상기시킨다. 오늘날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왕릉은 그 자체로 아름답지만, 그 뒤에 담긴 역사를 외면하지 않고 기억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오늘의 의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