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생태계의 근간을 이루는 곤충이 기후변화라는 거대한 위협 앞에서 속수무책으로 흔들리고 있다. 물과 토양을 정화하고 식물의 수분을 도우며 먹이사슬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는 곤충들의 개체 수 감소는 생태계 전체의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심각한 문제가 제기된다. 9월 7일 ‘곤충의 날’을 맞아 국립과천과학관에서 개최된 기획전 ‘잠자리를 따라가면 보이는 것들’은 이러한 곤충의 위기를 인류에게 던지는 경고로 해석하며, 기후변화의 심각성과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되돌아보게 한다.
약 4억 년에 걸친 진화의 역사를 지닌 곤충은 단단한 외골격과 놀라운 변태 과정을 통해 다양한 환경에 적응해 왔다.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다양한 생물군으로 존재하지만, 기후변화 앞에서는 속수무책의 상태다. 기록적인 기온 상승은 곤충들의 서식지를 파괴하거나 변화시키며, 이는 곧 개체 수 감소라는 직접적인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 전시에서 소개된 8종의 기후변화 생물지표종들의 변화는 이러한 현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따뜻한 지역을 찾아 북상하는 먹그림나비, 푸른큰수리팔랑나비, 무늬박이제비나비, 푸른아시아실잠자리의 모습은 기후변화로 인해 곤충들의 이동 경로가 달라지고 있음을 명확히 드러낸다. 반면, 말매미와 넓적배사마귀와 같이 변화된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며 오히려 서식지를 확장하는 사례도 존재한다. 그러나 큰그물강도래와 철써기와 같이 기온 상승에 적응하지 못하고 생존 위기를 겪는 종들도 나타나고 있어, 기후변화가 곤충 세계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보여준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이미 멸종 위기에 처한 종들에게 가해지는 기후변화의 파괴적인 영향이다. 조선시대 그림에도 등장할 만큼 흔했던 붉은점모시나비는 먹이식물이 줄어들어 한반도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했으며, 한국 고유종인 한국꼬마잠자리는 수온 상승으로 유충 생존율이 급감하면서 멸종 위기에 놓였다. 특히 한국 고유종이라는 점에서 이들의 멸종은 전 세계적인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큰 우려를 낳고 있다.
이러한 곤충들의 위기는 결국 인간의 활동, 특히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변화와 무관하지 않다. 지속적인 온실가스 배출은 지구 온도 상승을 가속화시키고, 이는 해수 온도 및 해수면 상승으로까지 이어진다. 결국, 곤충의 위기는 생태계를 넘어 인류의 삶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경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탄소중립’이 제시된다. 탄소중립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한 줄여 ‘0’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는 기업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가 일상 속에서 실천해야 할 중요한 과제다. 대중교통 이용, 다회용품 사용, 대기전력 차단 등 작은 실천들이 모여 큰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 이번 전시는 곤충을 통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우리 모두가 탄소중립 실천에 동참하여 미래의 지구를 지켜나가야 함을 강조하며 마무리된다. 국립과천과학관의 이번 전시는 10월 26일까지 이어지며, 특히 초등학생을 포함한 가족 단위 관람객들에게 생태계와 기후변화의 중요성을 배우고 일상 속 실천을 다짐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