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전 대만 여행 중 영수증이 복권이 되는 제도를 접하며 우리나라에도 이런 제도가 도입된다면 어떨지 상상해 본 경험이 있다. 당시 대만에서는 결제 후 영수증에 고유한 8자리 번호가 인쇄되며, 2개월마다 추첨을 통해 최대 약 4억 원의 상금을 지급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었다. 대만 정부는 이 제도를 통해 탈세를 방지하고 소비를 촉진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상상 속 제도가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현실화되고 있다. 바로 정부가 민생 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상생소비복권’ 정책이다. 이 제도는 단순히 영수증 자체가 복권이 되는 방식은 아니지만, 국민들이 보다 편리하고 의미 있게 소비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복권과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다.
최근 정부는 다양한 소비 진작 정책을 발표하며 국민들의 헷갈림을 줄이고자 관련 내용을 정리했다. 우선 지난 7월 처음 시행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1차와 2차로 나뉘어 진행됐다. ‘회복과 성장의 마중물’이라는 이름으로 추진된 1차 정책은 전 국민에게 일정 금액을 지원했으며, 오는 9월 말 2차 신청을 앞두고 있다. 이번 2차 지원은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며, 1인당 10만 원의 소비쿠폰이 지급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9월부터 시행된 ‘상생페이백’ 역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이 제도는 본인 명의의 국내 신용·체크카드를 사용하는 국민 중, 작년(2024년) 대비 올해 9월부터 11월까지 소비가 늘어난 만큼을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방식이다. 신청은 9월 15일부터 시작되었으며, 2025년 11월 30일까지 가능하다.
앞서 언급된 ‘상생소비복권’은 바로 이 ‘상생페이백’과 연계된 소비 진작 정책이다. ‘상생페이백’을 신청하면 자동으로 ‘상생소비복권’ 이벤트에 응모되는 방식이다. 소비복권은 8월 1일부터 10월 12일까지의 누적 결제액을 기준으로, 5만 원당 1장의 쿠폰이 지급되며, 1인당 최대 10장까지 응모할 수 있다.
정부는 이 소비복권 추첨을 통해 총 2,025명을 선정하여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10억 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1등 10명에게 각 2천만 원, 2등 50명에게 200만 원, 3등 600명에게 100만 원, 4등 1,365명에게 10만 원이 지급된다. 다만, 1등 당첨의 경우 비수도권 지역에서 5만 원 이상의 소비 실적이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다. 수도권에서만 소비한 경우 2등부터 4등까지의 당첨만 가능하다.
소비복권의 사용처 또한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내수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만큼, 대형마트, 백화점, 유흥업소, 온라인 거래,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에서의 소비는 인정되지 않는다. 대신 동네 식당, 전통시장 등 소상공인 업체를 중심으로 소비가 이루어질 경우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복학한 동생과 함께 학교 근처 마트와 전통시장에 들러 필요한 물건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어차피 해야 할 소비라면 혜택까지 챙기는 것이 현명하다는 점을 다시금 느꼈다. 동네 식당에서 점심을 먹고 마트에서 물건을 구매하다 보니 어느새 ‘상생소비복권’ 응모 조건인 5만 원을 훌쩍 넘겼다.
한 전통시장의 상인은 최근 소비 분위기에 대해 “쿠폰이 지급된 직후 손님이 늘어난 것 같았지만, 월말 정산 시 큰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9월부터 시행되는 새로운 정책(상생페이백 및 상생소비복권)으로 인해 추석을 전후로 경기가 살아나길 바란다”고 전했다.
짧은 기간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는 만큼, 어려운 경제를 살리려는 정부의 의지가 돋보이는 시점이다. 오는 9월 시작되는 2차 소비쿠폰과 함께 ‘상생페이백’, ‘상생소비복권’이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올 가을, 국민의 마음과 대한민국 경제 모두 풍성한 한가위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