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운 여름, 사람들은 시원함을 찾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한다. 과거에는 텔레비전의 ‘납량특집’ 프로그램이 오싹한 이야기로 더위를 잊게 해주었다면, 음식으로 더위를 이겨내는 대표적인 방법은 바로 빙수였다. 특히 1970년대에는 학교 앞 분식집이나 만화가게에서 에펠탑 모양의 수동 빙수기계로 만든 십 원짜리 빙수가 여름철 서민들의 소중한 간식거리였다. 수북하게 쌓인 얼음 위에 색색의 시럽을 뿌려주는 모습만으로도 더위를 쫓는 듯한 신비로운 경험을 선사했다.
시간이 흘러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눈꽃 빙수’와 같은 부드러운 식감의 빙수가 등장했고, 이후 빙수 전문 카페와 특급 호텔에서는 경쟁적으로 고급 빙수를 선보이며 빙수는 여름 전용 메뉴를 넘어 사계절 별미로 자리 잡았다. 이제 우리는 그야말로 ‘빙수 왕국’이라 불릴 만한 풍요로운 시대를 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대적인 빙수 열풍 속에서도 변함없이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곳이 있으니, 바로 ‘빙수의 도시’라 불리는 부산이다.
부산은 다른 지역과는 달리 ‘할매’라는 이름이 붙은 빙수가 시민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국제시장, 광복동, 용호동 등 부산 곳곳에는 빙수 거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국제시장에서는 옛날 방식의 담박하고 수수한 ‘할매 빙수’를 맛보기 위해 긴 줄을 서는 풍경을 흔히 볼 수 있다. 부산의 빙수가 왜 이렇게 특별한 사랑을 받는지에 대한 질문에 한 상인은 생선 보관을 위해 얼음이 필수적이었던 과거의 맥락을 언급하며, 더위에 지친 시민들에게 빙수가 더 절실했기 때문이라고 답한다.
부산식 ‘할매 빙수’는 화려한 고명보다는 갓 끓여낸 듯한 달지 않은 팥을 푸짐하게 얹어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 푸짐한 팥은 마치 할머니의 넉넉한 정을 느끼게 하듯 얼음 위를 덮는다. 한 그릇을 다 비우고 나면 단순한 간식이나 디저트를 넘어 든든한 한 끼 식사를 한 듯한 만족감을 준다. 비록 전국적으로 ‘눈꽃 빙수’가 유행하며 그 오리지널이 부산이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많은 부산 시민들은 여전히 소박하고 투박한 ‘할매 빙수’를 최고로 꼽는다.
조선시대만 해도 얼음은 귀한 존재였다. 겨울이면 한강에서 얼음을 캐 강가에 위치한 서빙고, 동빙고에 저장해 두었다가 여름에 궁으로 옮겨 왕실의 음식 재료 보관을 위한 냉장고 용도로 사용했다. 일반 서민들이 얼음을 접하는 것은 겨울철에 한정되었고, 여름 얼음은 왕족만이 누릴 수 있는 호사 혹은 상상 속의 사치품이었다. 이렇게 얼음이 귀했던 시절을 생각하면, 오늘날 우리가 마음껏 즐기는 시원한 빙수는 참으로 격세지감을 느끼게 한다. 여름이 저물기 전에, 그 옛날 얼음 부역의 추억까지 불러일으키는 부산의 ‘할매 빙수’를 맛보러 가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