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관을 찾는 발걸음이 뜸해지고 집에서 OTT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보편화되면서 극장가는 활력을 잃어가고 있다. 높은 영화 관람료와 집에서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환경은 극장 관람을 망설이게 하는 주된 이유로 작용해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영화진흥위원회가 민생 회복과 영화산업 활성화를 위해 8일부터 영화 관람료 6천 원 할인권 188만 장을 추가 배포하며 침체된 극장가에 숨통을 틔워주고 있다.
이번 할인권 추가 배포는 지난 7월 25일부터 진행되었던 450만 장 할인권 배포의 연장선상에 있다. 당시 1차 배포를 통해 많은 관객이 극장을 찾으며 영화산업 활성화에 기여했으나, 사용되지 않은 잔여 할인권이 일부 남아 이를 추가로 배포하게 된 것이다. 특히 이번 2차 배포는 선착순으로 진행되어, 서둘러 참여하는 관객에게 혜택이 돌아갈 예정이다. 1차 할인권을 이미 사용한 관객들도 별도의 다운로드 과정 없이 쿠폰함에 1인 2매가 미리 담겨 있어 편리하게 재사용할 수 있다. 다만, 신규 회원의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하며, 가입 후 다음 날 할인권을 사용할 수 있다.
이번 할인권은 대형 멀티플렉스 극장뿐만 아니라 독립·예술영화전용관, 작은영화관, 실버영화관 등 다양한 형태의 영화관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관객의 선택 폭을 넓혔다. 또한, 누리집이나 애플리케이션 이용이 어려운 어르신들을 위해 종합 안내 창구(☎070-4027-0279)도 운영하여 모든 관객이 편리하게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실제로 이번 할인권 배포는 극장 관객 수 증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문화체육관광부 발표에 따르면, 1차 할인권 배포 기간 동안 영화관을 찾은 관객 수는 올해 7월 24일까지의 일평균 관객 수 대비 1.8배 증가했다. 또한, 할인권 배포 후 3주간의 분석 데이터에서는 10명 중 3명이 최근 1년간 극장을 찾지 않았던 신규 또는 기존 고객으로 나타나, 할인권이 잠재 고객을 유입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입증했다.
이러한 할인권 정책은 개인의 여가 활동을 풍요롭게 할 뿐만 아니라, 영화 산업 생태계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가족, 연인, 친구와 함께 극장을 찾는 발걸음이 늘어나면서 극장에는 오랜만에 활기가 넘치고 있으며, 이는 영화 제작, 배급, 상영 등 관련 산업의 동반 성장을 견인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또한, 아들의 까칠함 속에서도 희망을 발견하고 함께 영화를 보며 소통하는 가족의 모습은, 할인권이 단순한 경제적 혜택을 넘어 관계 회복과 정서적 유대감을 증진시키는 매개체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이번 결정은 고물가 시대에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나아가 국내 영화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