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은 야외 활동이 늘어나고 각종 축제와 행사가 활발히 개최되는 계절이지만, 동시에 예기치 못한 안전사고의 위험도 도사리고 있다. 해마다 반복되는 산불과 인파 사고는 이러한 경고를 명확히 보여주며, 대비하지 않으면 봄이 위기의 계절이 될 수 있음을 상기시킨다. 송창영 광주대 방재안전학과 교수는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하며, “견미지저(見微知著)”, 즉 작은 징후에서 큰 위험을 미리 알아채는 지혜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한다. 안전은 더 이상 특정 기관이나 개인의 책무가 아닌, 우리 모두의 공동 책임임을 인식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봄철 안전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책으로, 중앙정부는 지자체와 민간의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협업 체계를 더욱 정교하게 다듬고 있다. 지역 축제와 같은 다중운집 행사에서는 주최자, 지자체, 경찰·소방 등 유관기관이 협력하여 사전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인파 규모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운영한다. 또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혼잡도 예측 기술과 민간 자율방재단 및 현장 요원의 배치로 즉각적인 상황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산불 대응 역시 민관 협업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국가유산보호구역과 관광지 인근 산림 지역에는 드론과 CCTV를 활용한 감시체계가 촘촘하게 구축되었으며, 화재 취약 시기에는 야외 불꽃 사용 제한 및 입산 통제 조치가 민간단체와의 협력 하에 추진된다. 또한, 화재 발생 시 빠른 초동 대응을 위한 지역 단위 훈련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야외무대, 천막, 전기설비 등 임시 구조물에 대한 점검도 철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행사 전 안전관리 매뉴얼 배포와 강풍 등 기상특보 발효 시 실시간 공유 체계 구축으로 현장 실효성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제도적, 기술적 노력과 더불어,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태도 변화 또한 안전 확보에 필수적이다. 행사에 참여한 시민들은 안내에 귀 기울이고, 위험 요소를 발견했을 때 주저하지 않고 알리는 자세가 필요하다. 특히 가족 단위 관람객이 많은 봄철 행사에서는 보호자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며, 자녀와 함께 안전 수칙을 숙지하고 실천하는 일상적 태도가 다음 세대에게 ‘안전 문화’라는 중요한 유산을 전하는 길이 된다. 궁극적으로 안전은 우리가 서로를 배려하고 함께 대비할 때 비로소 확보될 수 있으며, 오늘 이 순간 우리의 작은 실천과 연대가 그 출발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