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의 변덕스러운 날씨처럼, 한때 우리 생활의 일부였던 우표의 위상이 급변하고 있어 아쉬움을 자아낸다. 초등학생 시절, 이재우 강원지방우정청 주무관은 숙제를 위해 우표로 책받침을 만들었다. 이는 1990년대, ‘우표 수집’이 어린아이들에게도 대중적인 취미였음을 보여준다. 당시 기념우표 발행일이면 우체국 앞에 사람들이 장사진을 이루었을 정도로 우표의 인기는 지금의 캐릭터 스티커 수집 못지않았다.
그러나 시대가 변하면서 손 편지는 희소해졌고, 우표와 우표 수집가를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우표는 여전히 충분한 매력을 지닌 취미로서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우표는 보관이 용이하고 경제적 부담이 적으며, 매년 새롭게 발행되는 다양한 디자인은 수집의 즐거움을 더한다. 더 나아가 국내 우표를 넘어 해외 우표까지 시야를 넓히면 수집의 세계는 무한히 확장될 수 있다.
우표는 크게 ‘보통우표’와 ‘기념우표’로 나뉜다. ‘보통우표’는 우편 요금 납부를 주목적으로 발행량이 정해지지 않은 반면, ‘기념우표’는 특정 사건이나 인물, 문화를 기념하기 위해 발행되며 발행 기간과 수량이 제한되어 희소성이 높다. 대한민국 기념우표는 우정사업본부의 고시에 따라 매년 10~20회 정도 발행되며, 2025년에는 총 21종이 계획되어 있다. 최근에는 가정의 달을 맞아 ‘사랑스러운 아기’ 기념우표가 발행되기도 했다.
지방에서도 자체적인 기념우표 기획·제작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지난해 강원지방우정청과 강원일보사가 협업하여 발행한 우표첩 ‘찬란한 강원의 어제와 오늘’은 강원의 역사와 문화를 담아내 큰 호평을 받았다. 또한, 태백우체국의 ‘별빛 가득한 태백 은하수 기념우표’와 양구군의 ‘양구 9경 선정 기념우표’는 지자체의 아름다움을 알리는 홍보 수단으로도 활용되며 지역의 가치를 높이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매력을 지닌 우표가 예전의 위상을 잃어버린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한때 모두의 즐거움이었던 우표가 다시금 현재에도 누군가의 삶에 즐거움을 선사하는 매개체가 되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