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울산 장생포는 풍요로운 바다와 함께 고래 산업으로 번성했던 곳이다. 하지만 이제는 사라진 산업과 생업, 그리고 포경선에 대한 향수를 고기 한 점에 담아 음미하는 장소가 되었다. 장생포의 고래고기는 단순한 음식을 넘어 과거를 애도하고 도시의 기억을 되새기며 공동체의 내일을 준비하는 복합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장생포는 선사시대부터 고래가 모여들던 깊은 바다였음을 반구대암각화의 고래잡이 그림과 곳곳에서 발견되는 고래 유물들이 증명한다. 동해와 남해가 만나는 지점의 지리적 이점과 태화강, 삼호강, 회야강 등에서 유입되는 풍부한 부유물과 플랑크톤은 이곳을 고래들의 이상적인 서식지로 만들었다. 특히 신출귀몰하게 나타났다 사라지는 ‘귀신고래’는 장생포의 단골손님이었다.
이러한 천혜의 환경 덕분에 장생포는 일제강점기 이후 본격적인 포경 산업의 중심지로 발돋움했다. 1946년 최초 조선포경주식회사가 설립된 이후, 장생포는 어마어마한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수출입품을 실어 나르는 대형 선박들로 항구가 빼곡했으며, 6~7층 높이의 냉동창고들도 즐비했다. 1973년 남양냉동, 1993년 세창냉동 등 대규모 냉동 가공 시설이 들어섰지만, 경영난으로 문을 닫으며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폐허가 된 냉동창고는 2016년 울산 남구청이 매입하여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끝에 2021년 장생포문화창고로 새롭게 탄생했다. 총 6층 규모의 이 공간은 소극장, 녹음실, 연습실을 갖춘 지역 문화예술의 거점일 뿐만 아니라, 특별전시관, 갤러리, 미디어아트 전시관 등을 통해 다양한 문화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 2층의 ‘에어장생’ 체험관에서는 아이들은 물론 어른들도 동심으로 돌아가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 화가들의 작품을 미디어 아트로 재해석한 ‘조선의 결, 빛의 화폭에 담기다’ 전시는 시민들에게 새로운 감성을 선사하며 깊은 감동을 안겨준다. 수십 년 된 냉동창고의 문을 그대로 활용하여 신진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하는 갤러리로 재탄생시킨 것은 진정한 의미의 업사이클링이다.
특히 이곳에는 울산 공업의 역사와 과정을 보여주는 ‘울산공업센터 기공식 기념관’이 자리하고 있다. 과거 굴뚝에서 뿜어져 나오던 매캐한 연기와 함께 일본의 ‘이타이이타이병’과 같은 극심한 중금속 중독 질환인 ‘온산병’을 앓았던 울산의 근현대 개발사는 이곳에서 생생하게 그려진다. 쉼 없이 굴뚝이 매캐한 연기를 내뿜으며 성장했던 울산석유화학단지는 정유, 석유화학, 자동차, 조선 등 중화학공업을 집약시킨 대한민국의 산업 심장부로서 ‘한강의 기적’을 선도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했던 중금속 중독의 아픈 역사도 존재한다.
장생포의 고래 산업은 1986년 국제포경위원회(IWC)의 결정으로 상업 포경이 전면 금지되면서 100년도 안 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하지만 장생포의 고래고기는 여전히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대부분 밍크고래 등 혼획된 고래만을 합법적으로 유통하지만, 고기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은 상황에서도 ‘장생포가 아니면 언제 밍크고래를 맛보겠나’는 인식과 ‘희소성과 금지의 역설’은 고래고기를 더욱 욕망의 대상으로 만든다.
장생포의 고래요릿집에서 맛보는 ‘모둠수육’은 ‘일두백미’라 불리는 소고기 못지않은 다채로운 맛을 선사한다. 살코기, 껍질, 혀, 염통 등 다양한 부위는 익히지 않은 생회부터 삶은 수육까지 다채로운 방식으로 즐길 수 있으며, 특히 살코기는 쇠고기보다 붉은 색을 띠며 풍부한 혈색소를 자랑한다. 고래껍질 중 고급 부위로 꼽히는 ‘우네’와 기름층과 살코기가 겹겹이 쌓인 ‘오배기’는 고래 특유의 맛과 식감을 극대화시킨다. 부모님 역시 부산에서의 좋지 않은 기억 때문에 처음에는 망설였지만, 장생포 고래고기의 신선하고 다양한 맛에 만족감을 표했다.
장생포의 고래요릿집은 단순히 고래를 먹는 장소가 아니라, 사라진 산업과 생업, 그리고 포경선에 대한 향수를 담아내는 공간이다. 고래로 꿈꿨던 어부들, 고래고기로 단백질을 보충했던 피란민들, 그리고 한강의 기적을 일군 산업 역군들을 기리는 문화적 지층이 이곳에 녹아있다. 장생포의 고래는 사라졌지만, 그 기억과 정서는 고래고기를 통해 여전히 살아 숨 쉬며, 과거를 애도하고 도시의 기억을 되새기는 동시에 공동체의 내일을 준비하는 힘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