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침체, 전쟁, 고물가·고금리, 청년 실업, 저출산·고령화 등 산적한 과제들 속에서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정신건강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최근 발표된 자살률 통계는 이러한 현실을 여실히 보여주며, 학생들은 입시와 취업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으며, 어렵게 취업하더라도 미래에 대한 확신은 사라진 지 오래다. 예측 불가능한 사회는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작은 자극에도 쉽게 짜증과 분노를 표출하는 모습이 일상화되고 있다. 노인들 역시 신체 질병, 경제적 어려움, 정서적 외로움으로 소외감을 느끼며 ‘생산만이 선(善)인 사회’에서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이러한 답답함은 마치 끝이 보이지 않는 긴 터널 속에 갇힌 듯한 사회 전반의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희망’을 이야기하는 것조차 사치로 여기게 만들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현실 속에서도 잠시 멈춰 자신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은 이미 K-pop, K-drama, K-food를 통해 세계 문화의 중심에 섰으며, BTS와 블랙핑크, 영화 ‘기생충’, ‘오징어게임’ 등은 한국 문화를 세계 무대로 이끌었다. 이는 오랜 시간 축적된 창의성, 끈기, 노력의 결실이다. 경제적으로도 세계 10위권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으며, 정보통신, 의료, 교육, 치안 등 여러 분야에서 선진국 반열에 올랐다. 해외에서는 대한민국의 질서, 시민의식, 안전함에 놀라며, 밤늦게까지 거리를 활보하고 카페에 개인 물품을 두고 자리를 비워도 안심할 수 있는 치안은 다른 나라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특별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질적 풍요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행복지수’는 낮으며, 정서적으로는 더욱 불안하고 고립되어 쉽게 지쳐가는 사회가 되고 있다. 어쩌면 너무 앞만 보고 달려온 결과일 수 있으며,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한 경제 성장이나 기술 발전이 아닌, 삶의 가치 회복과 마음의 회복이다.
전쟁의 폐허 속에서 산업화를 이루고, 민주화를 성취하며, 전후의 가난 속에서도 자녀 교육을 포기하지 않고 오늘날의 대한민국을 만들어낸 저력은 단순한 운이 아니라 우리 민족 속에 깊숙이 자리한 ‘희망의 유전자’ 덕분이다. 이제 우리는 이 어려운 현실 앞에서 주저앉을 것인지, 아니면 수많은 위기를 이겨낸 ‘희망의 유전자’를 다시 꺼내 들 것인지 스스로에게 질문해야 한다. 답은 분명하다. 우리는 할 수 있고, 이미 수없이 해냈다. 우리가 맞서야 할 것은 외부의 위협만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마음속에 품은 불안과 두려움, 그리고 부정적인 생각이다.
새 정부는 특정 지역이나 집단의 정부가 아닌, 국민 모두의 정부여야 한다. 이 땅을 지켜온 국민의 희생과 열정을 기억하고, 이를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국민이 가진 창의성, 근면성, 공동체 정신은 사회를 다시 한번 도약시킬 소중한 자산이다. 정부와 대통령은 국민을 믿고, 국민은 정부의 진정성과 방향성을 신뢰할 때 진정한 회복이 가능하다. 우리 마음속 ‘희망의 씨앗’이 자랄 수 있도록 토양을 만들고 햇살을 비추는 일이 지금 가장 필요하다. 앞으로도 난관이 있겠지만, 이제는 ‘혼자 버티는’ 시간이 아닌 ‘함께 걸어가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 앞만 보고 달려온 길 위에서 잠시 멈춰 옆 사람을 살피고, 지친 누군가를 일으켜 세우며, 또한 누군가의 손에 의지해 일어설 수 있을 때 건강한 사회가 될 것이다. 우리 속에 간직한 희망의 유전자는 오랜 고난과 좌절 속에서도 살아남았고, 지금도 우리 가슴 속에 뜨겁게 살아 있다. 이제는 그 유전자를 다시 꺼내 들 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