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운 여름, 더위를 쫓기 위해 우리는 얼음을 갈아 만든 ‘빙수’라는 신비로운 존재에 의지한다. 단순한 디저트를 넘어, 빙수는 과거부터 사람들에게 시원함을 선사하며 여름철 특별한 의미를 지녀왔다. 특히 1970년대에는 학교 앞 분식집이나 만화가게에서 십 원짜리 저렴한 빙수가 여름을 나는 소중한 오아시스였다. 주물로 만든 수동 빙수기계로 깎아내던 얼음 알갱이를 보는 것만으로도 더위를 잊을 수 있을 정도였다. 당시의 빙수는 주인이 아이스박스에서 얼음을 꺼내 기계에 넣고 손잡이를 돌리면, 얼음이 날에 깎여 그릇에 수북이 쌓였고, 색소가 든 시럽을 뿌려 숟가락과 함께 내주던 풍경으로 생생하게 기억된다.
시간이 흘러 1990년대에는 얇게 깎아 사르르 녹는 식감의 ‘눈꽃 빙수’가 등장하며 빙수는 단순한 여름 별미를 넘어 사계절 즐길 수 있는 메뉴로 자리매김했다. 이제는 빙수 전문 카페와 최고급 호텔에서 경쟁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빙수를 선보이며 ‘빙수 왕국’이라 불릴 만한 시대를 맞이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여전히 많은 이들이 수수하고 담박한 옛날 빙수의 맛을 그리워한다. 특히 ‘할매’라는 이름이 붙은 부산의 빙수는 이러한 향수를 자극하며 시민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부산이 ‘빙수의 도시’라 불리는 데에는 여러 배경이 있다. 더운 날씨 탓에 시원한 빙수에 대한 수요가 절실했을 뿐만 아니라, 생선을 얼려 보관하는 데 필요한 얼음이 빙수의 재료로도 활용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부산의 빙수는 요란한 고명 대신, 팥을 푸짐하게 얹어주는 것이 특징이다. 너무 달지 않은 팥이 마치 푸근한 정처럼 얼음 위로 넉넉하게 담겨, 한 그릇을 다 비우고 나면 단순한 간식이 아닌 든든한 한 끼 식사를 한 듯한 만족감을 선사한다. 전국적으로 인기를 끈 눈꽃 빙수의 원조가 부산이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많은 이들은 여전히 소박하고 투박한 부산식 할매 빙수의 매력에 빠져 있다.
빙수의 역사는 더욱 거슬러 올라간다. 조선시대에는 겨울이면 한강에 나가 얼음을 캐고, 이를 서빙고와 동빙고에 저장해 두었다가 여름철 궁으로 날라 냉장고처럼 사용했다. 왕이 먹는 음식 재료의 부패를 막기 위한 목적이었다. 당시 일반 서민들에게 얼음은 겨울에만 볼 수 있는 귀한 존재였으며, 여름 얼음은 궁에서나 접할 수 있는 호사였다. 이렇게 얼음의 귀함을 실감할 때, 여름이 저물기 전에 최고의 얼음 음식인 팥빙수를 맛보기 위해 부산으로 향하고 싶은 마음이 절로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