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을 기념하며 젊은 세대가 우리말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자리가 마련되었으나, 여전히 우리말에 대한 무관심과 외래어 남용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못한 채 남아있다. 2025년 10월 9일,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는 서울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한글날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진행된 이번 행사는 우리말 겨루기, 공공언어 개선 캠페인, 사투리 퀴즈, 사진 체험관 등 우리말을 배우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행사가 단순히 일회성 기념을 넘어, 언어 생활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문제점을 얼마나 해결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이번 기념행사는 우리말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 올바른 언어 사용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행사장에는 잔디밭 위에 여러 부스가 설치되어 방문객들을 맞이했다. 특히 <사투리 어디까지 알아?> 부스에서는 지역별 사투리의 다양성을 체험하며 우리말의 풍성함을 느낄 수 있었다. 겉절이를 ‘재래기’라고 부르는 등 익숙한 단어조차 지역마다 다른 표현을 사용한다는 사실은 많은 참가자들에게 놀라움을 안겨주었다. <열쇠고리랑 엽서랑> 부스에서는 순우리말을 활용한 엽서 제작 프로그램을 통해 아름다운 우리말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말 겨루기> 부스에서는 올바른 문장을 고르는 게임을 통해 참여자들이 우리말 실력을 점검하고, 틀려도 계속 기회를 제공하여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우리말 가꿈이랑 친구맺자> 부스에서는 ‘한글’의 ‘한’이 ‘크고 으뜸 되는’이라는 뜻을 가진다는 사실을 배우며, 우리가 당연하게 사용하는 단어의 깊은 의미를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 <사랑하자 공공언어> 부스에서는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나 태그해 줘’를 우리말로 바꾸는 연습을 통해 일상에서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외래어를 우리말로 대체하는 중요성을 강조했다. 참가자들은 이 부스를 통해 ‘인스타그램’을 ‘누리소통망’으로, ‘태그’를 ‘언급’으로 바꿔 사용하는 등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익혔다.
이번 행사를 통해 우리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외래어 사용을 줄이려는 노력이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생들이 직접 기획하고 운영한 이번 행사는 예상보다 훨씬 자유롭고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어, 다양한 연령대의 참가자들이 우리말과 즐겁게 교감할 수 있었다. 행사에 참여한 방문객들은 5개의 도장을 모으면 파우치를 선물로 받는 방식으로 모든 부스를 체험하며 우리말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올림픽공원이라는 접근성 좋은 장소에서 진행된 만큼, 참가자들은 행사를 마친 후 공원을 산책하며 가을의 정취를 만끽하기도 했다. <우리말 가꿈이> 회원들은 ‘우리말 가꿈이가 살아요!’라는 주제 아래, 한글을 아끼고 보존하려는 20대들의 노력을 보여주며 작가에게 깊은 위로를 선사했다. 전국 22곳의 국어문화원에서도 한글날 기념행사가 10월 한 달간 이어질 예정이며, 다양한 체험과 홍보 부스가 운영된다. 이러한 다채로운 행사를 통해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지키는 문화가 일상에 뿌리내릴 수 있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