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이 화장품 패키지의 작은 글씨로 인해 정보를 확인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제품의 유의사항이나 소비기한 등을 확인하기 위해 패키지를 뒤집어 보지만, 빼곡하게 적힌 작은 글자들로 인해 내용을 파악하기 힘든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정보 가독성의 불편함은 소비자들이 필수적인 정보를 놓치게 만들고, 더 나아가 제품 선택에 있어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또한, 좁은 면적에 모든 정보를 담으려는 제조사의 노력은 패키지 디자인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어왔다.
이러한 소비자 불편과 정보 전달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행정안전부가 ‘화장품 e-라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화장품의 필수 표기 정보를 디지털 라벨 형태로 제공하는 정책으로, 소비자는 QR코드를 스캔하여 휴대폰으로 상세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제품 패키지에는 제품명, 제조 번호, 소비기한 등 소비자가 자주 찾는 핵심 정보만 확대하여 제공하고, 안전 정보, 사용법, 성분 등 분량이 많은 추가 정보는 QR코드 내 e-라벨을 통해 제공된다. 이로써 소비자는 작은 글씨에 대한 부담 없이 필요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으며, 제조사는 패키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화장품 e-라벨’ 사업은 2024년 3월 1차 시범 사업을 시작으로, 올해 3월부터 내년 2월 말까지 2차 시범 사업을 진행하며 점차 확대되고 있다. 1차 시범 사업에서 6개사 19개 품목에 시범 운영한 결과 긍정적인 소비자 피드백을 얻어, 2차 시범 사업에는 염모제, 탈염 및 탈색용 샴푸 등을 포함한 13개사 76개 품목으로 확대되었다. 이 시범 사업을 통해 소비자들은 QR코드 스캔만으로 큰 글씨로 제품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으며, 특히 작은 글씨를 읽기 어려워했던 고령층에서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향후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음성변환 기능(TTS) 도입까지 예정되어 있어, 정보 접근성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화장품 e-라벨’은 시공간 제약 없이 유효기간 없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 또한 가지고 있어, 소비자들이 화장품 정보를 더욱 건강하게 숙지하고 안전하게 제품을 선택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