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지역, 특히 전주를 중심으로 콩나물국밥이 지역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했다. 시원하고 감칠맛 나며 흐뭇함을 주는 이 국밥은 물이 좋아 콩과 콩나물이 모두 맛있다는 배경에 힘입어 지역의 수많은 노포에서 빠지지 않는 메뉴가 되었다. 하지만 집에서는 흔히 접하는, 어찌 보면 평범하기까지 한 이 대중적인 국밥이 어떻게 지역의 최고 음식이라는 위상을 얻게 되었을까.
세상은 각기 다른 삶의 방식과 식문화를 가지고 있다. 같은 나라 안에서도 말씨, 차림새, 습속이 다르며 이러한 다양성이 세상의 재미를 더한다고 볼 때, 먹는 일 역시 마찬가지다. 비슷한 음식이라 할지라도 지역마다 미묘한 변주가 존재하며, 이는 음식의 본질적인 매력이자 차별점이 된다. 중국 화교가 시작한 짜장면이나 짬뽕조차 지역별로 조금씩 달라지는 것처럼, 음식은 고유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발전한다. 만약 전국 화교 중국집 연합회가 통일된 레시피로 음식을 만들기로 결의한다 해도, 각자의 주방에 들어서는 순간 고향의 맛을 잊지 못하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크다. 손님들은 “예전 같지 않다”는 평가를 내릴 것이고, 주방장은 결국 자신만의 레시피로 회귀할 것이다. 이는 음식이 달라야 맛을 느낄 수 있으며, 굳이 모든 음식을 획일적으로 통일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서울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콩나물국은 ‘요리’라는 인식 자체가 희박하다. 일반적으로 백반을 시키면 기본으로 제공되는 국 중 하나로, 어떤 국이 나올지 기대하는 재미로 식사를 하지만, 콩나물국이 나올 경우 실망감을 느끼기 쉬웠다. 값싼 재료에 특별한 건더기 없이 미리 끓여두는 국으로 인해 맛에 대한 기대치가 낮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라북도에서 콩나물국밥은 전혀 다른 차원의 음식으로 다가왔다. 명성은 익히 알고 있었지만, 막상 식당에서 주문하는 과정은 단순하지 않았다. 수란이나 날계란, 오징어 추가 여부부터 밥을 토렴할지 따로 낼지에 대한 선택지가 제시되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가게마다, 동네마다, 지역마다 콩나물국밥의 조리법과 먹는 방식이 상이했다. 현지인처럼 콩나물국밥을 맛있게 먹는 방법을 묻자, 한 친구는 “여기는 어떻게 시켜요?”라고 되묻는 것이 정답이라고 알려주었다. 이는 콩나물국밥을 주문하는 방식 자체가 그 지역의 문화를 이해하는 열쇠임을 시사한다. 주인은 말없이, 옆자리의 단골 손님이 친절하게 외지인에게 콩나물국밥을 제대로 즐기는 법을 안내하는 풍경은, 주인의 매출 증대와 단골의 보람, 그리고 손님의 만족까지 이끌어내는 ‘일거삼득’의 경험을 선사한다.
이러한 지역 특색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 중 하나가 전주 남부시장 국밥집이다. 일반적인 국밥집과는 달리, 이곳에서는 주문이 들어오면 이모가 국이 담긴 투가리를 커다란 탁자 위에 올린다. 이후 하이라이트는 손님 앞에서 직접 마늘과 매운 고추, 파를 도마 위에 올려 다지는 과정이다. 밥을 내는 데 시간이 걸릴지라도, 방금 다진 마늘과 고추를 얹어 완성되는 이 멋진 국밥은 음식의 향을 극대화하며 특별한 맛을 선사한다.
전주뿐만 아니라 익산, 군산 등 전북권 전역에는 콩나물국밥으로 유명한 가게들이 즐비하다. ‘세 집 건너 하나는 콩나물국밥집’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이 음식에 대한 애정이 깊다. 전날 과음을 하는 사람들의 수가 줄고, 선택할 수 있는 음식이 다양해진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전북을 방문했을 때 콩나물국밥을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는 이유는 바로 이러한 독특한 문화와 깊은 맛에 있다.
한편, 맛있는 콩나물국밥집을 택시기사에게 함부로 묻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명가들은 물론, 동네마다 새롭게 떠오르는 강호들이 많아 기사들이 즉답을 내리기 어려워하기 때문이다. 이는 외지인에게 온정을 베풀려는 기사들의 마음과 더불어, 전북 지역에 맛있는 콩나물국밥집이 그만큼 많다는 방증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