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내수 시장의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에게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지난 9월 ‘동행축제’가 6634억 원이라는 역대급 매출을 기록하며 그 성과를 입증했다. 이는 단순한 소비 증진을 넘어, 한국 경제의 근본적인 소비 활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의지를 보여주는 결과로 분석된다.
이번 ‘9월 동행축제’는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대규모 소비 촉진 행사로,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과 전국적인 연계 행사 및 다채로운 이벤트를 통해 되살아나는 소비 분위기 확산에 집중했다. 특히, 중소벤처기업부는 이번 축제가 소상공인의 매출 증진뿐만 아니라, 상품권 판매를 통한 내수 시장 전반의 활력 제고를 목표로 삼았다. 그 결과, 온라인 판매전에서 6307억 원, 오프라인 판매전에서 327억 원의 직접 매출을 달성했으며, 이는 온누리상품권 4856억 원, 지역사랑상품권 2412억 원의 판매로 이어져 그 파급 효과를 더욱 증대시켰다.
축제의 성공은 온라인 판로 확대 측면에서도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였다. 2만 7000개 사가 참여한 온라인 판매전에서는 e커머스, TV홈쇼핑, 전통시장몰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6307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특히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6700만 원),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는 13배(6200만 원) 이상 매출이 증가하는 등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적인 사례를 제시했다. 쿠팡에서 진행된 기획전 역시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이 6400만 원,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6000만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온라인 시장에서의 동행축제 대표 상품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했다.
오프라인 판매전 역시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침체된 지역 경제에 온기를 불어넣었다. 이번 축제는 특히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상권 및 소비자 접점을 넓히기 위해 해당 지역의 행사 비중을 전체의 76%까지 늘리는 전략을 구사했다. 제주 개막식과 롯데백화점 상생판매전 역시 이러한 노력의 결실을 보여주었다.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개막식에는 1만 8000명이 방문했으며, 이틀간 진행된 판매전에서는 제주지역 소상공인 51개 사가 참여해 8500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롯데백화점(잠실점)의 상생판매전에서는 50개 사가 참여하여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대기업과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적 유통 구조 구축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와 더불어, 상생소비복권 및 다양한 민간 기업 주도의 소비 촉진 이벤트는 소비 촉진 효과를 더욱 극대화했다. 1000만 명이 응모한 상생소비복권 이벤트는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매장에서의 카드 결제를 유도하며 소비 증진에 기여했으며, 7개 TV홈쇼핑사와 7개 카드사 역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며 골목상권 활성화에 앞장섰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 및 집중호우 피해 지역에 할인쿠폰을 제공하며 소외된 지역 상권 회복을 위한 노력을 더했다.
중소벤처기업부 최원영 소상공인정책실장은 “9월 동행축제에 참여해 준 국민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따뜻한 소비가 소상공인에게는 희망의 불씨가,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정부는 기존 할인 축제를 통합하여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개최할 예정이며,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채로운 소비 혜택을 통해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꼼꼼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정부의 지속적인 정책 추진은 침체된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소상공인 경제의 회복을 견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