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사회 전반에 ‘사회적 거리감’이 팽배해졌고, 이는 사람들 간의 경계심을 높이며 낯선 대상에 대한 혐오와 거부감을 확산시켰다. 이러한 분위기는 개인의 고립과 외로움을 심화시키며, 우리 사회를 지탱하는 공동체의 문화를 약화시키는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대한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3년부터 ‘온기나눔 캠페인’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온기’는 사람의 체온이 주는 긍정적인 기운을 의미하며, 이는 촉감뿐만 아니라 태도와 행동을 통해서도 전달되고 서로 인지될 수 있는 호혜적인 것이다. 이러한 온기를 나누는 과정은 멀어진 관계를 회복하고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중요한 에너지원이 된다. 이를 위해 온기나눔 캠페인은 자원봉사, 자선사업, 기부운동 관련 기관들과 행정안전부가 협력하여 온기를 나누는 지속가능한 환경과 기반을 마련하는 데 힘쓰고 있다. 관련 법 개정과 협력을 통한 문제 해결력 강화 네트워크 구축은 선한 의지가 실질적인 문제 해결력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온기나눔 캠페인은 계절, 절기, 재난 등 다양한 상황 속에서 서로의 온기를 나누는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의미 있는 활동’을 중심으로 사람과 지역이 함께 성장하는 여행인 ‘볼런투어(Voluntour)’가 주목받고 있다. 볼런투어는 단순한 관광을 넘어 나눔과 교류를 통해 더 큰 가치를 실현하는 여행으로, 그 진정한 의미는 여행자가 낯선 환경과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며 깊이 있게 상호작용하고 관계를 맺는 데 있다. 통신과 교통 발달로 여행 문화가 변화하면서, 단순히 ‘몇 개 나라를 가봤는가’보다 ‘어떤 새로운 경험과 발견이 있었는가’가 중요해졌다. 이는 장소 중심의 관광에서 벗어나 사람 중심, 경험 중심으로 나아가는 여행 트렌드를 반영한다.
볼런투어는 단순히 구경하는 것을 넘어, 여행지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잠재력이 있는 곳을 선택하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예를 들어, 생태적으로 가치가 높거나 기후 위기로 피해를 입은 지역을 방문하는 여행은 지역에 대한 배려와 긍정적 영향을 전제로 한다. 또한, 문화유산이나 역사적 가치가 있는 장소를 방문하여 그 의미를 깊이 이해하고 나누는 여행 역시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고려한 볼런투어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진 볼런투어에서는 여행지에서 ‘누구를 만나느냐’가 매우 중요하며, 이는 단순한 만남을 넘어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작용의 순간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만남은 여행자와 지역 주민 모두에게 서로를 통한 변화 경험, 즉 일방적인 도움이 아닌 공감과 이해를 통한 ‘공진화(co-evolution)’의 과정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다준다.
올 봄 발생한 산불은 기후 위기가 우리 삶과 직결된 문제임을 확인시켜 주었다. 특히 피해 지역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 문제는 지역 소멸 위기와 맞물려 우리의 일상을 규정하는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로의 온기를 나누고 느낄 수 있는 만남의 절실함은 더욱 커졌다. 전국 자원봉사센터에서는 산불 피해 지역의 응급 복구가 마무리되면서, 피해 지역 주민들의 상처 입은 마음을 치유하고 서로의 온기를 전하는 재난 회복 여행을 시작했다. 5월 가정의 달에는 산불 피해 지역 마을을 찾아 손을 맞잡는 볼런투어가 진행되었으며, 영덕군에서는 볼런투어 참가자들이 함께 진달래를 심는 공원 만들기도 추진되었다. 올 봄, 서로 멀어진 지역과 개인들을 다시 연결하는 온기나눔 여행은 많은 지역에서 제안되고 있으며, 이러한 여행을 통해 멀어진 사회적 관계를 새롭게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