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기존 7월 전망보다 0.1%p 상향 조정된 0.9%로 제시되었으며, 내년에는 올해보다 대폭 높은 1.8%로 전망치를 유지했다. 이러한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최근 한국 경제가 직면하고 있는 성장 둔화라는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IMF의 진단과 향후 회복 가능성을 시사한다.
IMF는 지난 10월 14일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한국 경제의 올해 성장률을 0.9%로 예측했다. 이는 지난 7월 전망치보다 0.1%p 높은 수치이다. 더 나아가 내년 성장률은 1.8%로 전망하며, 이는 현재의 잠재 수준보다 낮은 성장 궤도를 벗어나 정상적인 성장 경로로 복귀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전망은 한국 경제가 당면한 저성장 국면을 극복하고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기대감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IMF는 올해 전 세계 경제 성장률을 3.2%로 예측하며 이는 7월 전망보다 0.2%p 높은 수치이다.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3.1%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이러한 세계 경제 상황 역시 한국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1.6%로 수정되었으며, 신흥개도국 그룹의 성장률은 4.2%로 전망되어 전반적인 세계 경제의 회복세를 뒷받침하고 있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로 전반적인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에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하며,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 등을 주요 하방 요인으로 제시했다. 다만, 무역 갈등 완화, 각국의 구조개혁 노력 가속, AI 도입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 등은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IMF의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 상향 조정은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잠재적 위험 요인들이 상존하는 만큼, 한국 경제가 제시된 성장 경로를 성공적으로 따라가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면밀한 경제 상황 분석과 정책적 노력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