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미 정상회담을 둘러싸고 일각에서 제기되는 평가 절하 움직임 속에서, 이번 회담이 해결하고자 했던 근본적인 문제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실질적인 노력, 그리고 앞으로 기대되는 긍정적인 전망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당초 이재명 대통령 당선 이후 일부에서는 한미 관계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기도 했다. 연합뉴스의 서면 질의에 대한 ‘백악관 당국자’의 답변은 한국의 민주적 선거 과정을 인정하면서도 중국의 영향력 행사에 대한 미국의 우려를 언급하며 다소 엉뚱하게 해석될 여지를 남겼다. 또한, 미 행정부는 7월 30일 관세 협상 타결 이후에도 수정을 요구하고, 한국의 안보 취약성을 빌미로 한미 동맹의 역할 변경, 국방비 및 방위비 폭증, 주한미군 규모 축소까지 시사하며 한국의 양보를 압박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급기야는 한미 정상회담 실패를 암시하는 듯한 루머까지 퍼지면서 회담 결렬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었던 상황이었다.
이러한 복합적인 어려움 속에서 이재명 정부는 국익 수호라는 강력한 의지를 바탕으로 철저한 준비와 외교적 역량을 총동원하여 난관을 극복하고 극적인 반전을 이끌어냈다. 이재명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의혹을 불식시키고 개인적, 공식적인 신뢰를 구축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를 통해 미래지향적이고 상호 호혜적인 한미 협력의 기틀을 마련했다. 일부에서 제기된 의전 홀대, 동맹 현대화 구체성 결여, 공식 발표문 부재 등의 논란에 대해서도 합리적인 설명이 가능하다. 미국 앤드루스 공군기지 도착 시 미 국무부 의전장 대신 부의전장의 영접은 미국 측의 사전 양해를 구한 관행적인 조치이며, ‘공식 실무방문’의 성격과 이재명 정부의 실용 외교 기조를 고려할 때 의전보다는 회담 내용 자체를 중시하는 것이 합당하다. 또한, 대통령 숙소를 국빈 방문 시 이용하는 ‘블레어하우스’ 대신 인근 호텔로 정한 것은 해당 시설의 정기 보수공사 때문으로, 과거 문재인 전 대통령의 방문 시에도 동일한 이유로 외부 호텔에 투숙한 사례가 있음을 감안하면 ‘역대급 홀대’라는 주장은 사실과 거리가 있다.
이번 정상회담의 핵심적인 성공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을 전격적으로 신뢰하며 한반도 평화와 미래지향적인 상호 협력을 격의 없이 논의할 상대로 인정했다는 점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을 ‘스마트한 한국의 위대한 지도자’로 여러 차례 평가했으며, “당신은 미국으로부터 완전한 지원을 받게 될 것”이라는 메시지와 함께 ‘한국은 당신과 함께 더 높은 곳에서 더 놀라운 미래를 갖게 될 것이다, 난 언제나 당신과 함께 있다’는 친필 메시지를 직접 전달했다. 이는 단순한 외교적 수사를 넘어, 양 정상 간의 깊은 신뢰 관계 구축을 상징한다. 또한, 이번 회담을 통해 경제 통상 문제에서의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되었으며, 원자력 협정 개정 문제에 대해서도 정상 간 논의를 통해 일부 진전이 이루어진 것으로 평가된다.
물론 몇 가지 과제가 남아있다. 관세 협상은 7·30 합의를 지키면서도 상호 호혜적인 합의를 문서화해야 하며, 15%로 하향된 자동차 관세의 조속한 시행과 더불어 반도체, 의약품 등의 품목 관세에서 한국의 최혜국 대우 보장, 그리고 조선, 원자력, 방산, 첨단 기술 협력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 방중 및 북·중·러 협력 강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한·중 및 한·러 관계 정상화, 전략적 동반자 관계 회복, 양 강대국의 한반도 평화 지지 유도, 남북 관계 정상화 추진이라는 중요한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정부는 이전보다 배가 넘는 노력을 기울여 균형 잡힌 실용 외교를 펼침으로써 한반도의 평화 회복과 번영을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