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의 상세 정보를 작은 글씨로 읽는 데 어려움을 겪었던 소비자들이 모바일 기기를 통해 쉽고 편리하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화장품 e-라벨’ 시범 사업이 확대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행정안전부에서 추진하는 이 사업은 제품 패키지의 물리적 공간 제약을 넘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소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려는 새로운 시도다.
기존 화장품 패키지는 제품명, 제조 번호, 소비기한 등 필수 표기 정보를 좁은 면적에 집약하여 표기하다 보니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글자 크기가 작아 소비자들이 정보를 제대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화장품 e-라벨’은 소비자들이 자주 찾는 핵심 정보는 제품 겉면에 확대하여 표기하고, 사용 방법, 안전 정보, 성분 등 부가적이고 상세한 정보는 QR코드를 통해 모바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전환했다. 이는 소비자에게는 정보를 쉽게 읽을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며, 제조사에게는 패키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정책은 단순히 소비자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것을 넘어 친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작은 글씨의 인쇄량을 줄임으로써 포장지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디지털 정보 제공 방식은 유효기간이 없어 시공간의 제약 없이 필요한 정보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화장품 e-라벨’ 사업은 2024년 3월 1차 시범 사업을 거쳐, 올해 3월부터 내년 2월 말까지 2차 시범 사업을 진행 중이다. 1차 시범 사업에서 6개사 19개 제품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소비자 피드백을 받은 것을 바탕으로, 2차 시범 사업에서는 염모제, 탈염 및 탈색용 샴푸 등 제품군을 확대하여 13개사 76개 품목으로 늘렸다. 특히, 이번 2차 시범 사업에는 소비자들이 직접 경험하고 편리함을 체감한 염색약과 같은 제품군이 포함되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시범 사업 대상 제품은 패키지 뒷면에서 “화장품 e-라벨 시범 사업 대상 제품입니다” 또는 “QR코드 스캔으로 상세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와 같은 문구를 통해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안내되고 있다. QR코드를 스캔하면 제품명, 영업자 상호 및 주소, 내용물의 용량 및 중량 등 상세 정보가 큰 글씨로 깔끔하게 제공된다. 더 나아가, 디지털 취약계층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음성변환 기능(TTS) 도입도 예정되어 있어, 앞으로 ‘화장품 e-라벨’은 더욱 포괄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소비자들은 작은 글씨 때문에 필요한 정보를 놓치거나 제품 선택에 어려움을 겪었던 경험을 언급하며, QR코드 스캔만으로 상세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 매우 편리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한, 알레르기 성분 확인 등 민감한 정보를 꼼꼼히 살필 때도 유용하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경험과 기대는 ‘화장품 e-라벨’이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소비자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동시에 환경 보호에도 기여하는 효과적인 정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