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인기 관광지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해외여행 수요 증가로 예전 같지 않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높은 물가 등 몇 가지 부담 요인이 작용하고 있지만, 여전히 국내 여행 1번지로 불리는 제주는 매력적인 땅으로 남아있다. 특히 약 100만 년 전 얕은 바다에서 화산 폭발로 생성된 용머리해안은 제주의 지질학적 가치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이 오래된 땅의 진정한 가치를 아는 제주 사람조차 많지 않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용머리해안은 약 100만 년 전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화산체로, 제주 본토가 생기기 훨씬 이전에 만들어진 제주의 가장 오래된 땅이다. 수성화산 분출이 간헐적으로 이어지면서 여러 방향으로 쌓인 화산재 지층을 관찰할 수 있으며, 오랜 시간 파도와 바람에 깎여나가며 독특한 지형을 형성했다. 검은 현무암과 옥색 바다가 어우러진 풍경은 마치 살아있는 예술 작품과 같으며, 압도적인 자연 앞에서 인간은 겸손해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러한 용머리해안의 신비로운 가치를 제대로 알지 못하거나, 물때와 날씨의 제약으로 인해 방문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제주의 오랜 역사와 자연의 경이로움 속에서, 척박한 땅에서 뿌리내린 고사리와 지역의 친근한 가축이었던 돼지를 활용한 ‘고사리해장국’이 제주의 소울푸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논농사가 어려웠던 제주에서 고사리와 메밀은 오랜 기간 사람들의 주린 배를 채워준 귀한 식재료였다. 특히 고사리는 척박한 화산암에서도 튼튼한 뿌리를 내리고 빗물을 저장하며 자랐으며, 독성을 제거하여 섭취하는 과정은 제주의 강인한 생명력을 상징한다. 돼지 사육이 용이했던 제주에서는 돼지뼈로 우려낸 육수에 고사리를 넣어 걸쭉하고 구수한 맛의 고사리해장국을 만들어왔다. 여기에 메밀가루를 더해 풍미를 살린 이 음식은 ‘베지근하다’는 제주 사투리로 표현될 만큼 깊고 담백한 맛을 자랑한다.
용머리해안의 100만 년 시간과 고사리해장국의 구수한 맛은 제주의 태곳적 자연과 그 속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이야기가 한데 어우러진 결과물이다. 제주를 방문하는 이들은 용머리해안에서 제주의 오랜 시간을 느끼고, 고사리해장국으로 그 역사를 맛보며 제주의 깊은 매력을 경험할 수 있다. 이 귀한 유산과 음식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고 그 가치를 인정받는다면, 제주는 앞으로도 변함없는 매력으로 방문객들을 맞이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