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인기 속에 다시금 제주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다. 하지만 과거와 달리 관광객 감소라는 새로운 어려움에 직면한 제주의 현재, 이 문제의 배경에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해외여행 재개로 인한 국내 관광지 수요 분산이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제주는 여전히 이름값을 하는 매력적인 땅으로 남아 있지만, 높은 물가와 같은 몇 가지 이슈가 발목을 잡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제주의 숨겨진 가치를 조명하고 관광객 감소라는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법을 제시하는 듯한 발표가 있다. 바로 제주에서 유일하게 로컬100에 이름을 올린 제주의 유산, 용머리해안이 그 주인공이다. 이곳은 십 년 만에 다시 찾더라도 그 가치를 제대로 알지 못하거나, 물때와 날씨라는 제약 때문에 방문 기회를 놓치는 이들이 많다. 이에 용머리해안의 입장 시간을 오전 9시부터 운영하는 관광안내소에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미끄럽지 않은 편안한 신발 착용은 기본이다.
용머리해안이 자리한 서귀포시 안덕면 초입부터 시선을 사로잡는 산방산은 제주 신화 속 이야기의 주인공이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한라산보다 먼저 생성된 화산체다. 그리고 산방산과 더불어 제주의 지질학적 특징을 명확히 보여주는 용머리해안은 제주 본토가 생기기 훨씬 이전에 만들어진 약 100만 년 전의 화산체다. 이곳은 수성화산 분출이 간헐적으로 여러 분화구에서 계속되면서 화산재가 쌓이고, 이동하며, 다시 파도와 바람에 깎여나가며 만들어진, 제주 최초의 땅이자 태곳적 땅이라 할 수 있다.
용암과 바다, 그리고 시간이 빚어낸 장엄한 풍경은 사진이나 영상으로는 온전히 담아낼 수 없는 압도감을 선사한다. 검은 현무암과 옥색 바다가 뒤엉킨 이곳에서 우리는 100만 년 세월의 무게를 체감하게 된다. 작은 방처럼 움푹 들어간 굴방, 드넓은 암벽의 침식 지대, 오랜 세월 쌓인 사암층과 해안 절벽은 제주가 품어온 오랜 역사를 말해준다. 바위가 용의 머리처럼 생겨 붙여진 이름처럼, 이곳은 진시황이 혈맥을 끊으려 했다는 전설이 깃든 영험한 땅이기도 하다. 마치 산방산의 절규와 눈물을 밟고 선 듯한 오묘함 속에, 용암의 증기가 빠져나가며 생긴 구멍 뚫린 자국이나 시루떡처럼 층층이 쌓인 지층은 제주 최초의 속살을 만나는 듯한 환희를 안겨준다.
이 거대한 자연 앞에서 인간의 짧은 인생은 겸손해질 수밖에 없다. 더불어 쉴 새 없이 사진을 찍으며 걷다 보면 약 한 시간이 소요되는 용머리해안 탐방 후, 이 땅과 가장 잘 어울리는 음식으로 제주의 소울푸드인 고사리해장국을 빼놓을 수 없다. 화산의 땅 제주에서는 물과 곡식이 부족하여 오랫동안 고사리와 메밀이 주된 식량이었다. 척박한 화산암에서도 뿌리를 단단히 내리는 고사리는 제주 생태계의 시작이자 식재료의 시작이었다. 독성이 있지만 삶아 말려 즐겼던 고사리는 먹을 것이 부족했던 제주에서 귀한 식재료였으며, 특히 돼지를 친근한 가축으로 키웠던 제주에서는 돼지 뼈로 곤 육수에 고사리를 넣어 끓인 고사리해장국이 탄생했다.
육개장의 소고기 대신 고사리를 사용하고 메밀가루를 더해 걸쭉하고 구수한 맛을 낸 고사리해장국은 혀를 부드럽게 자극한다. 메밀 전분으로 걸쭉해진 국물은 자극적이지 않고 은은한 감칠맛을 자랑하며, 제주 방언으로 ‘베지근하다’는 표현처럼 기름진 맛이 깊으면서도 담백하여 속을 든든하게 채워준다. 밥 한 공기를 말아내면 죽처럼 되직해지는 고사리해장국은 입에 걸리는 것 없이 술술 넘어간다. 가난과 통한의 연속이었던 제주 사람들의 삶 속에서 피어난 담백하고 유순한 맛인 것이다.
유채꽃이 일렁이는 산방산과 그 발아래 엎드린 용머리해안을 마주하며, 100만 년을 관통하는 제주의 역사와 그 속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이야기, 그리고 그 흔적을 품은 고사리해장국의 맛은 깊은 감동을 선사한다. 자연도, 인간도, 그리고 이 음식을 맛보게 해준 이들 모두에게 “폭싹 속았수다”라는 제주 방언처럼, 수고로움에 대한 깊은 감사함을 느끼게 하는 경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