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은 국익 증진과 국제 사회에서의 위상 강화를 목표로 하는 이재명 대통령의 적극적인 유엔 외교를 통해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9월 유엔안보리 의장국으로서 ‘AI와 국제평화·안보’라는 주제를 직접 선정하고 회의를 주재한 것은 한국이 미래 기술 시대의 국제 규범 형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보여준 사건이다. 이와 더불어, 다수의 정상회담과 투자 설명회를 통해 미래 먹거리 확보와 경제 활성화라는 국가적 과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대통령의 3박 5일간의 유엔 외교는 크게 세 가지 핵심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으로 분석된다. 첫째, 국가 미래의 핵심 동력이 될 인공지능(AI) 분야에서의 국제 협력 강화와 관련한 문제이다. 세계 최고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과의 만남을 통해 최첨단 미래 산업인 AI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AI 인프라 구축을 통해 한국을 아태지역의 허브로 만들자는 데 뜻을 모았다. 이는 한국 국민의 미래 먹거리를 챙기기 위한 구체적인 행보로 평가된다.
둘째, 국제사회에서의 한국 민주주의 위상 강화 및 남북 관계 개선이라는 숙원 과제에 대한 해결책 제시이다. 이 대통령은 유엔총회 연설을 통해 한국 민주주의가 친위 쿠데타 사태를 극복하고 회복된 역사를 선언하며, 국민주권국가로서 ‘빛의 이정표’가 될 것을 약속했다. 또한, 적대와 대립으로 파탄에 빠진 남북 관계를 정상화하기 위한 3원칙(상대 체제 존중, 적대 행위 금지)과 교류·관계 정상화·비핵화의 END 이니셔티브를 제시하며 한반도에서 ‘평화공존과 공동 성장’의 새 시대를 열어가자고 제안했다. 특히, 비핵화 진전과 무관하게 북미 관계 정상화를 수용한다는 제안은 창의적이고 진취적인 것으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만남을 촉진하는 효과를 기대하게 한다.
셋째, 불안정한 국제 정세 속에서 대한민국의 책임 있는 국제 사회 일원으로서의 역할과 경제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유엔 비판과 자국 이기주의적 발언으로 시끄러운 가운데, 이 대통령은 자유, 인권, 포용, 연대의 가치를 수호하는 책임 강국으로서 모든 거주민을 존중하고 기후·환경 문제 해결에 앞장서며 ‘원조하는 나라’로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또한, 폴란드와의 방산 협력 확대, 체코와의 관광 및 원전 사업 협력, 우즈베키스탄과의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 등 다양한 국가들과의 경제 협력 강화를 논의했다. 마지막으로,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대한민국 투자 서밋’을 개최하여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정책과 해법을 제시하고, 국방력 강화, 기업 지배구조 개선, 세금 제도 개혁, 확장 재정 정책 등을 통해 한국 금융 및 증시 부흥을 모색했다.
이 대통령의 이번 유엔 외교는 국제 사회에 한국의 국가 위상을 드높이고 국민들에게 미래 경제에 대한 희망을 심어주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들도 산적해 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일방적인 관세 공세와 투자 요구에 대한 대응 방안 마련, 10월 경주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 준비, 그리고 북한 노동당 창당 80주년을 계기로 한 북중 관계 변화 주시 등 외교적 과제들이 남아있다. 이러한 과제들을 슬기롭게 해결하고, 이번 외교 성과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국익을 극대화하는 실용 외교를 지속해 나가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