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이 토니상 6관왕을 차지하며 한류의 성공적인 역사를 다시 한번 입증했다. 에미상, 그래미상, 오스카상, 토니상을 모두 석권하는 EGOT 달성이 가시권에 들어온 지금, 우리는 28년 전 한류의 시작을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당시 한국 대중문화는 국내에서의 평가절하와 더불어 국제적인 인지도 또한 미미한 상황이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97년 6월 15일, 중국 CCTV를 통해 방영된 MBC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는 단순히 한 편의 드라마를 넘어, 한국 대중문화의 가능성을 시험하고 나아가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잠재력을 발견하게 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의 출발점이었다.
<사랑이 뭐길래>는 1991년부터 1992년까지 MBC에서 방영된 55부작 주말 드라마로, 당시 한국 내 최고 시청률 64.9%라는 경이로운 기록을 세웠다. 하지만 이 드라마가 한류의 시작점으로 주목받는 이유는 그 자체의 성과를 넘어섰기 때문이다. 1997년 6월 15일, 중국 CCTV에서 ‘아이칭스션머(?).情是什? ài qíng shì shén me)’라는 제목으로 방영된 <사랑이 뭐길래>는 중국 시청률 4.2%, 평균 시청자 수 1억 명이라는 기록을 남기며 당시 중국에서 한국 드라마로는 가장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는 한국 대중문화가 국경을 넘어선 보편적인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한류’라는 현상이 시작될 수 있는 잠재력을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확한 증거였다. 당시 중국은 서구 문화에 대한 경계심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한국 문화를 대체재로 소비하는 경향이 있었고, 이러한 상황은 <사랑이 뭐길래>의 성공을 통해 한국 문화 콘텐츠의 경쟁력을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다.
<사랑이 뭐길래>의 성공 이후, 한류의 기원을 두고 다양한 학설이 제기되었다. 1993년 드라마 <질투> 방영설, 1994년 영화 <쥬라기 공원> 아젠다 등장설, 1995년 SM 출범 및 CJENM 영상 산업 진출, 뮤지컬 <명성황후> 초연설, 그리고 1999년 중국 언론에서 ‘한류’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했다는 주장까지 존재한다. 하지만 화제성, 상징성, 영향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1997년 <사랑이 뭐길래>의 방영이 한류의 실질적인 시작점이자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첫걸음이었다는 점은 강력하게 설득력을 얻는다. 즉, 용어가 등장하기 이전에 이미 ‘실행으로서의 한류’, ‘현상으로서의 한류’가 <사랑이 뭐길래>를 통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사랑이 뭐길래>를 기점으로 한국 대중문화는 급격한 발전을 이루었다. 드라마 <겨울연가>, <대장금>, <별에서 온 그대>, <태양의 후예> 등을 거쳐 영화 <기생충>, 드라마 <오징어 게임>으로 이어지는 영상 콘텐츠의 성공은 물론, K팝 또한 2011년 SM의 파리 공연을 시작으로 BTS, 블랙핑크, 스트레이키즈, 세븐틴 등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을 배출하며 불멸의 금자탑을 쌓았다. 이는 한국 대중문화가 겪었던 ‘국내에서의 낮은 평가’라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치열한 내부 경쟁 속에서 형성된 제작 역량’과 ‘보편적인 소구력’을 바탕으로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한 결과다.
최근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의 토니상 6관왕은 이러한 한류 성공 서사의 정점을 보여준다. 서울 대학로에서 시작된 공연 예술 콘텐츠가 세계 최고 권위의 시상식에서 6관왕을 차지했다는 것은, 한국 문화 콘텐츠가 이제는 EGOT와 같은 세계적인 명예를 완성해 나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28년 전 <사랑이 뭐길래>가 중국 시장에서 일으킨 작은 파동이 오늘날 전 세계를 아우르는 한류라는 거대한 흐름으로 발전한 것이다. 이는 한국 대중문화가 겪었던 태생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 세계적인 문화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음을 명확히 보여주는 결과이며, 앞으로도 한국 문화 콘텐츠의 무한한 가능성을 기대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