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가 전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으며 기존 한류 현상에 새로운 차원을 더하고 있다. 기록적인 흥행 가도를 달리고 있는 ‘케데헌’은 단순한 인기 작품을 넘어, 글로벌 문화가 로컬 문화를 어떻게 전용하고 재창조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분석된다.
‘케데헌’이 해결하려는 근본적인 문제는 기존 한류 콘텐츠가 가진 정체성과 확장성의 한계이다. 한국 문화산업이 제작했다면 실현하기 어려웠을 ‘케데헌’의 독창성은, 원본에 대한 집착 없이 극강의 소통 능력을 위해 동원된 캐릭터의 매력에서 두드러진다. 이는 로컬 콘텐츠가 글로벌 시장과 어떻게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교본과 같은 역할을 한다. 특히, 넘어뜨린 화분을 일으키는 데 정신이 팔려 임무를 잊은 캐릭터 ‘호랑이 더피’를 통해 이러한 성공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케데헌’의 성공 배경에는 애니메이션이라는 장르적 특성이 크게 작용한다. 소니의 스파이더맨 애니메이션 기술을 활용한 역동적인 캐릭터 구현, 시청자의 적극적인 수용을 고려한 텍스트 전략, 디테일이 살아있는 일러스트레이션, 그리고 케이팝의 강력한 에너지가 결합되었다. 무엇보다 애니메이션이라는 표현 양식은 비서구 문화가 가진 ‘몸’에 대한 장벽을 넘어설 수 있게 해주었다. 기존 케이팝이 ‘아이돌의 아시아성’이라는 한계에 머물렀던 것과 달리, 애니메이션은 이러한 장벽을 낮추거나 제거함으로써 인종주의적 복잡함 없이 전 세계 시청자에게 사랑받고 코스프레하기 쉬운 캐릭터를 탄생시켰다. 이는 현재 플레이브나 이세계 아이돌과 같은 버추얼 아이돌 그룹의 해외 투어가 가능할 정도로 진전된 케이팝 문화 속 캐릭터 산업의 발전을 방증한다.
또한, ‘케데헌’은 북미의 한인 2세 원작자 및 제작자들이 대거 참여했다는 점에서 애플 TV의 ‘파친코’와 유사점을 보인다. ‘파친코’가 3대에 걸친 가족 이야기를 실사 드라마로 구현하며 일제강점기 조선과 일본을 배경으로 삼았다면, ‘케데헌’은 한국 문화의 오랜 무당 서사와 케이팝을 결합하여 서울의 상징적인 장소들을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을 선보인다. ‘파친코’가 세트 촬영으로 한국 여행자를 직접적으로 유인하지 못했던 반면, ‘케데헌’은 서울에 대한 노스텔지어와 호기심을 자극하며 잠재적인 여행객을 불러들이는 효과를 내고 있다. ‘케데헌’의 반복 시청과 싱어롱을 유발하는 매력은, 과거 디즈니 애니메이션이 독점했던 삽입곡 시장에 새로운 대안이 등장했음을 시사한다.
‘케데헌’이 제시하는 인간적이고 공동체적인 세계관 속 걸그룹과 보이그룹은, 디즈니의 자아발견 공주 이야기, 일본 애니메이션의 개인 성장형 모험 스토리, DC와 마블의 우주 대전쟁과는 차별화되는 이국적이고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더불어, 수많은 프리퀄과 시퀄로 확장 가능한 ‘케데헌’의 서사는 동시대적으로도 ‘헌터스’가 세계 투어 중 로컬 귀신과 싸우는 스토리를 통해 다양한 로컬 버전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개방된 구조를 지닌다.
이러한 형식적, 서사적 가능성에 더해 ‘케데헌’은 한국인 디아스포라와 그들의 역사적 경험이라는 새로운 서사 자원의 존재를 일깨워준다. 북미 한인 2세 제작자들의 독특한 한국 문화 경험과 애정은 ‘케데헌’이 글로벌 시장과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문화적 중재(mediation)’를 가능하게 했다.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은 한국인의 경험으로 세계사를 포용하는 광범위한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만들어냈으며, 이는 한류를 넘어 한국의 미래가 한인 디아스포라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케데헌’은 이제 한류가 다른 세계로의 문을 여는 새로운 관문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