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심화하는 기후변화와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은 우리 사회의 재난 양상을 복합적이고 예측 불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한 대형 화재, 붕괴 사고 등 과거와는 다른 차원의 대규모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대응 능력 강화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러한 국가적 재난 관리 패러다임의 전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소방청이 기존의 자율기구인 소방과학기술과를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로 전격 개편하며 대응 역량 강화에 나섰다.
이번 조직 개편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과학기술과 디지털 전환을 기반으로 한 재난·안전 대응체계 강화라는 주요 국정과제와 맥을 같이한다. 특히,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는 급변하는 재난 환경에 보다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부서는 소방 현장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첨단 장비의 연구개발 및 기획 기능을 포함하며, 더 나아가 소방 정책 수립에 인공지능을 비롯한 최신 과학기술을 적극적으로 접목하는 과제를 발굴하고 기술적인 지원까지 담당하게 된다. 이는 과거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했던 재난 대응 방식에서 벗어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보여준다.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의 신설은 단순한 조직 명칭 변경을 넘어, 미래의 복합 재난에 대한 실질적인 대응 능력을 강화하겠다는 소방청의 강력한 의지를 반영한다. 첨단 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재난 대응 체계를 확립함으로써, 국민들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더욱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소방정책은 기후위기 시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수단”이라며, “선제적이고 유연한 조직 혁신을 통해 미래 재난에 강한 안전사회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혀, 이번 조직 개편이 미래 재난 대비를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임을 시사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은 더욱 신속하고 효과적인 재난 대응 시스템의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