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직장인들이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해 명확한 정의와 자부심을 느끼지 못하는 문제가 시급히 해결되어야 한다. “당신은 무슨 일을 하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명쾌하고 자랑스러운 답변을 자신만의 스토리로 만들어낼 수 있도록, 일의 본질적인 가치에 대한 인식을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개인의 직무 만족도를 넘어, 조직 전체의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정신건강정책 혁신위원회는 구성원 개개인의 ‘일’에 대한 자부심과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직면한 문제들을 극복해 나가고자 한다. 1969년, 인류 역사상 최초로 달에 착륙했던 아폴로 11호 프로젝트는 단순히 기술적인 성공을 넘어, 참여자 모두가 자신의 역할을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했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다. 당시 NASA 청소부였던 한 직원이 “저는 사람을 달에 보내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라고 답했던 일화는, 자신의 업무가 아무리 사소해 보여도 거대한 목표 달성에 기여한다는 자부심이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하는지를 증명한다. 비록 이 이야기가 감동을 위해 각색되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일’에 대한 개인의 마음가짐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분명하다. 이러한 경험은 직장인들이 자신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스스로의 일에 대한 긍정적인 스토리를 만들어가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최근 군 부대에서의 강연 요청이 증가하는 현상 또한 이러한 문제의식과 연결된다.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게 국가를 지킨다는 자부심으로 헌신해 온 군인들이 외부 여론에 상처받고 좌절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이는 이들의 정신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년 같았으면 효율성 문제로 거절했을 군부대 강연을 올해는 여러 차례 진행하게 된 배경에는, 군인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한 깊은 공감과 그들의 헌신에 대한 자부심을 회복시켜주고자 하는 간절함이 담겨 있다. 강연의 시작은 언제나 “군인은 무엇을 먹고 사나요?”라는 다소 도발적인 질문으로 시작된다. 이는 군인들이 단순히 생존하는 것이 아니라, 더 고귀한 목적을 위해 존재하며 그 가치를 인정받아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소방관들이 목숨을 걸고 화재 현장에 뛰어드는 이유 역시 금전적 보상이나 이익 때문이 아니라,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킨다는 숭고한 가치에 기반한다. 미국에서 소방관이 가장 존경받는 직업 1위로 꼽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선한 가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숭고함에 대한 국민들의 존경의 표현이다. 이처럼 국가와 사회, 국민으로부터 마음에서 우러나는 존경을 받는다는 것은, 군인과 소방관처럼 공동체를 위해 헌신하는 이들에게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중요한 가치이며, 이는 그들의 ‘일’에 대한 깊은 자부심으로 이어진다.
결론적으로, ‘일’에 대한 개인의 인식 변화는 문제 해결의 핵심 열쇠다. “당신은 무슨 일을 하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 단순한 직무 명칭을 넘어, 자신의 일이 사회와 공동체에 기여하는 가치에 대한 자부심으로 연결될 때, 우리는 더 큰 의미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마음가짐은 개인의 정신 건강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조직과 사회 전체의 발전에 기여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따라서 모든 구성원이 자신의 일에서 이러한 ‘가치’를 발견하고, 자신만의 멋진 스토리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 신영철 정신건강정책 혁신위원회 위원장,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