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계 자산의 상당 부분이 부동산에 쏠려 있어 심각한 노후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일본과 미국의 경우 가계 자산의 60~70%를 금융자산으로 보유하는 반면, 한국 가계는 전체 자산의 75%가 부동산이고 금융자산은 25%에 불과하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층의 경우 부동산 비중은 80~90%에 달해 부동산 가격 하락 시 노후 대비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강창희 행복100세 자산관리연구회 대표는 최근 발표된 통계들을 인용하며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한국의 가구당 순자산은 구매력평가환율 기준으로 62만 달러, 시장환율 기준으로 44만 3000달러로 일본을 앞선다. 그러나 이는 상당 부분이 부동산 가격의 거품으로 인한 착시 효과일 수 있다고 분석한다. 일본은 한국보다 국토 면적이 약 4배 넓지만, 2023년 기준 토지 자산 규모는 한국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적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한국의 땅 한 평 가격이 일본 땅 네 평 가격과 맞먹는다는 계산으로, 과거 일본이 겪었던 극심한 부동산 버블 시기의 상황을 연상케 한다.
과거 일본 역시 1980년대 후반 부동산 버블 당시 ‘내 집 마련’에 대한 열풍이 불었으나, 인구 감소, 고령화, 경제 불황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부동산 가격의 장기 하락을 경험했다. 이 과정에서 일본 국민들의 내 집 마련에 대한 인식도 크게 변화하여, 현재는 집을 빌려 사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줄어들고 자산 운용의 효율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문제는 한국의 상황이 일본의 과거와 유사한 궤적을 밟고 있다는 점이다. 이미 90%를 넘는 도시화율과 저출산·고령화가 과거 일본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향후 10~20년 후 부동산 시장의 전망을 낙관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전국 평균 도시화율은 90%를 넘어섰으며, 제2차 베이비붐 세대의 내 집 마련 수요 또한 조만간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과도한 부채를 안고 주택을 구입하는 것은 노후의 경제적 안정을 위협하는 매우 위험한 선택이 될 수 있다고 강 대표는 강조한다. 따라서 노후 대비 자산 관리의 핵심 원칙은 재산을 특정 자산에 집중시키지 않는 것이다. 부동산에 편중된 자산 구조를 점진적으로 개선하여 퇴직 무렵에는 부동산과 금융자산의 비중을 반반 수준으로 맞춰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는 단순히 집을 사고파는 단기적인 시장 전망을 넘어, 다가올 미래에 대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개인의 재정적 안정을 지키기 위한 필수적인 자산 관리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