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증 사진 한 장, 혹은 익숙한 말투의 카카오톡 메시지 하나로 개인의 삶이 송두리째 흔들릴 수 있는 위험천만한 시대가 도래했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의 배경에는 첨단 기술의 부재가 아닌, 일상적인 정보 공유를 통한 예방 시스템의 취약성이 자리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기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은 이러한 범죄의 표적이 되기 쉬우며, 이로 인한 금전적, 정신적 피해는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최근 한 사례는 이러한 현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작년 여름, 한 주무관은 부모님 댁을 방문했다가 어머니가 뜬금없이 ‘핸드폰을 샀다’는 말을 듣게 되었다. 어머니는 딸인 줄 알고 보낸 카카오톡 메시지에 의심 없이 신분증 사진을 보내고, 함께 전달된 링크를 눌렀던 것이다. 이로 인해 어머니의 휴대전화에는 처음 보는 이상한 앱들이 설치되었고, 문제의 카카오톡 대화창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사건 파악 후 급히 경찰서를 방문했지만, 토요일 민원실 운영 시간으로는 신고 접수조차 어려웠다. 결국 경찰서 민원실에서 받은 대처 방법 안내문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와, 주무관은 밤새 수습에 나섰다. 가장 먼저 신분증 분실 신고를 하여 추가적인 신분증 도용을 막고, 경찰청 앱을 통해 휴대전화에 설치된 악성 앱을 삭제했다. 이후 금융감독원에 개인정보 노출 사실을 등록하고, ‘웹세이퍼’,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털린 내 정보 찾기’ 등의 서비스를 통해 명의 도용 피해 여부를 꼼꼼히 확인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어머니 명의로 대포폰 2대가 개통되었고, 10개가 넘는 온라인 사이트에 가입되어 있었으며, 어머니의 휴대전화 번호를 이용해 50만 원의 소액결제 피해까지 발생했음이 밝혀졌다. 다행히 어머니가 인터넷뱅킹을 사용하지 않았기에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었지만, 이번 사건으로 인해 어머니는 며칠간 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할 정도로 큰 충격과 속상함을 겪었다. 이 사건은 ‘보이스피싱’이 더 이상 남의 이야기가 아닌, 전화 한 통, 메시지 하나로 일상을 파고드는 ‘생활 속 범죄’가 되었음을 명확히 드러냈다.
이러한 심각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우정사업본부가 적극적으로 나섰다. 우정사업본부는 지난 4월부터 부산, 강원, 충청 지역의 농어촌 지역 고령층을 대상으로 ‘우체국 디지털 교육’을 시범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올해 하반기부터는 전국 농어촌 지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 디지털 교육은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는 보이스피싱 예방법뿐만 아니라, 키오스크, 모바일뱅킹, ATM(현금인출기) 사용 방법 등 고령층의 실질적인 생활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처럼 소소해 보일 수 있는 교육이, 신분증 하나, 카카오톡 메시지 하나로 인생이 송두리째 흔들릴 수 있는 현대 사회에서 피해를 막을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패가 될 수 있다. 거창한 기술이 아닌, 일상 속 정보 공유와 예방 교육을 통해 나와 내 가족, 그리고 우리 이웃 모두를 지킬 수 있다는 믿음 아래, 우정사업본부는 오늘도 전국 각지에서 어르신들과 마주 앉아 귀한 교육의 시간을 갖고 있다. 이 작은 교육의 노력이 우리 사회 전체를 지키는 튼튼한 방패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