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국 문화가 타국에서 먼저 인정받고 돌아왔을 때 비로소 그 가치를 깨닫고 재평가하는 ‘문화 역수입’ 현상은 우리 사회에 만연한 외부 평가 의존 심리를 드러낸다. 본국에서 외면받거나 저평가되었던 문화 콘텐츠가 해외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고 난 후에야 한국 사회가 이를 ‘국가 브랜드’로 인식하며 호명하는 패턴은, 한국 문화의 지속 가능성과 정체성 확립이라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제기한다. 한류 콘텐츠의 성공 사례들이 이러한 맥락에서 ‘설계되지 않은 성공’ 혹은 ‘우연한 행운’으로 치부되기도 하지만, 이는 문화 자체의 내재적 가치보다 외부의 인정에 의존하여 가치를 확인하려는 문화적 자기 확인 방식의 단면을 보여준다.
이는 단순히 인기 상승의 문제가 아니라, 문화 정체성의 회복과 문화 정책의 방향성을 근본적으로 되묻는 계기다. 문화 역수입 현상은 자국 문화에 대한 집단적 콤플렉스나 자신감 부족에서 비롯될 수 있으며, ‘우리 것’을 스스로 인정하지 못하고 외부의 자극을 통해서만 그 가치를 깨닫는 현상과 무관하지 않다. 프랑스에서 예술로 재발견된 일본의 우키요에나 유럽 상류층에 의해 예술의 반열에 오른 아르헨티나의 탱고처럼, 한국의 판소리, 막걸리, 그리고 최근의 한류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역시 해외에서 먼저 호평을 받으면서 국내에서 진가를 뒤늦게 인정받는 사례로 볼 수 있다. ‘폭싹 속았수다’의 경우, 한국 고유의 정서와 가족주의, ‘K-신파’적 감수성이 담긴 ‘감성 중심의 한국형 정서 서사’가 해외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며 ‘우리가 간직하고 있던 감정의 DNA’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정서의 수출’은 한국적 정체성의 확인으로 이어졌으며, 특히 아시아와 중남미권에서 스토리와 플롯이 주는 공명의 소구력이 컸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문화 역수입의 과정은 자포니즘(Japonisme)이 일본 문화의 미학적 가치를 세계 예술사에 각인시킨 것처럼, 한국 문화 역시 외부의 거울을 통해 자신을 재해석하고 구조화하는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문화는 외연의 확장만으로는 지속되지 않으며, 순환과 회귀의 과정 속에서 이루어지는 정체성의 재구성이 중요하다. 문화 역수입은 그 순환의 한 국면일 뿐이며, 문화의 미래는 그 회귀를 어떻게 맞이하느냐에 달려 있다. 문화는 순환할 때 비로소 살아있으며, 되돌아온 그것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다면, 자신의 정체성을 언제든지 재확인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내재된 가치를 미리 알아보고 소중히 여기는 자세, 즉 자국 문화 콘텐츠를 ‘해외 입양’ 보내지 않고 ‘내 집에서 제대로 키우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