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향유 기회를 전국적으로 확대하려는 정부의 노력이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 배포로 이어지고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비수도권 지역민을 위한 맞춤형 혜택 강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1차 할인쿠폰이 유용하게 사용되었다는 평가 속에서 진행된 2차 쿠폰 발행은 전국 단위 할인뿐만 아니라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까지 포함하며 지역 문화 활성화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이번 2차 할인쿠폰 발행은 9월 25일(목)부터 시작되었으며, 전국 단위 할인쿠폰과 더불어 비수도권 지역민을 위한 전용 할인권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이는 지역 문화 행사 참여율을 높이고, 문화 향유 기회의 지역적 불균형을 해소하려는 정부의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네이버 예약,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등 특정 예매처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으며, 공연과 전시 유형별로 각 2매씩 제공된다. 특히, 1매당 공연 15,000원, 전시 5,000원 할인이라는 파격적인 혜택은 비수도권 지역민들이 문화생활을 더욱 적극적으로 누릴 수 있도록 유도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전국 할인권보다 더 높은 할인율을 제공하며, 11월 27일까지 유효하다. 다만, 쿠폰은 매주 목요일에 재발행되며, 발급받은 후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하는 제한이 있다. 이러한 운영 방식은 쿠폰의 지속적인 사용을 유도하고, 예매처별 할인 혜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는 목적으로 보인다. 실제로 네이버 예약과 같은 플랫폼에서는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 사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처음 만나는 뱅크시 사진전’과 같은 유료 전시를 정가보다 훨씬 저렴하게 예매한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이 전시의 경우, 서울·경기·인천을 제외한 대구 북구의 복합문화공간 펙스코에서 개최되었으며, 5,000원의 할인 혜택이 결제 시 자동으로 적용되어 관람객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었다.
이번 2차 할인쿠폰 발행을 통해 비수도권 지역에서도 수준 높은 공연과 전시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뱅크시 사진전의 경우, 그의 대표작뿐만 아니라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다양한 작품과 디즈멀랜드 프로젝트의 흔적까지 보여주며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했다. 이러한 전시를 수도권이 아닌 지역에서도 접할 수 있다는 점은 문화 향유의 지역 격차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결국, 이번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 사업은 수도권 집중 현상 속에서 상대적으로 문화 접근성이 낮은 비수도권 지역의 문화 예술 거점을 활성화하고,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예술을 더욱 가깝게 느끼고 소통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