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적인 메뉴로 흔히 여겨지는 콩나물국밥이 전라북도 지역에서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 음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은 여러 질문을 던진다. 서울 등 다른 지역에서 백반에 곁들여 나오는 흔한 국으로 치부되던 콩나물국밥이 왜 전북에서는 지역을 대표하는 최고 음식으로까지 인정받게 된 것인지, 그 배경에는 어떤 문제가 놓여 있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콩나물과 물이 좋다는 단순한 찬사를 넘어, 지역민과 외지인의 인식 차이, 그리고 이를 극복하고 풍미를 더하는 과정 자체가 전북 콩나물국밥의 가치를 높이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의 간극과 콩나물국밥을 단순한 서민 음식을 넘어 지역 특색을 살린 최고 음식으로 격상시키려는 배경에는, 음식이 가진 본질적인 다양성과 지역별 고유성을 존중하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 박찬일 셰프는 낯선 지역을 방문했을 때 흔히 보이는 관공서 양식이나 경찰 제복의 통일성과는 달리, 지역별로 다른 말씨, 차림새, 습속이 세상의 재미를 더한다고 말한다. 이는 음식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 비슷한 음식이라도 지역별로 미묘한 변주를 거치며 고유한 맛을 형성한다는 설명이다. 중국 화교가 시작한 짜장면과 짬뽕마저도 지역별로 조금씩 다르며, 전국 화교 중국집 연합회에서 통일을 결의한다 해도 각자의 고향 주방에 들어서는 순간 자신만의 레시피로 돌아가는 것은, 결국 음식은 달라야 맛이기도 하다는 본질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라북도의 콩나물국밥은 단순한 레시피의 차이를 넘어,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완성되는 음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서울에서는 콩나물국밥이 기본 백반에 딸려 나오는, 별다른 맛을 기대하기 어려운 국으로 여겨졌던 것과 달리, 전라북도에서는 ‘수란으로 할까요, 날계란으로 할까요?’, ‘오징어를 넣을까요, 말까요?’, ‘밥은 토렴할까요, 따로 낼까요?’와 같은 질문이 당연하게 오간다. 이는 가게마다, 동네마다, 지역마다 다른 콩나물국밥의 스타일을 보여주며, 소비자가 적극적으로 자신의 취향을 반영하여 주문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만든다. 더욱이,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주인이 아닌 옆 테이블의 아저씨가 대신 알려주는 문화는, 콩나물국밥을 둘러싼 공동체적인 소통의 장을 형성하며 음식에 대한 경험을 더욱 풍성하게 만든다. 특히 전주 남부시장의 한 국밥집에서는 주문이 들어오면 마늘과 매운 고추, 파를 손님 앞에서 직접 다져 양념을 만들어 올리는 과정을 보여주는데, 이는 미리 썰어둔 것과 즉석에서 다진 것의 향과 맛의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며 음식의 신선함과 정성을 강조하는 솔루션이다. 익산, 군산 등 비슷한 권역의 도시들에서도 콩나물국밥으로 한 가락 하는 가게들이 즐비하다는 점은, 이러한 지역적 특색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음을 시사한다.
이처럼 전라북도의 콩나물국밥은 각 지역의 고유한 방식으로 발전하며 ‘어떻게 먹어야 현지인처럼 쓱, 잘 얻어먹을 수 있냐’는 질문 자체가 하나의 재미있는 과정이 되고 있다. 택시기사들에게 함부로 묻지 말라는 추신은, 그만큼 전통의 명가뿐만 아니라 동네마다 신흥 강호들이 즐비하여 즉답을 내리기 어려울 정도로 콩나물국밥집이 많다는 방증이다. 이러한 다양성은 콩나물국밥이 단순한 한 끼 식사를 넘어, 지역의 문화와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살아있는 음식임을 보여준다. 앞으로도 전라북도의 콩나물국밥은 이러한 고유한 방식과 지역별 특색을 바탕으로, ‘세 집 건너 하나’라는 말이 무색하지 않을 만큼 그 명성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