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11일 만에 캐나다 G7 정상회의에 참석하며 반년 간 실추되었던 한국 외교의 위상을 회복하는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뎠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제사회에서 외교적으로 소외되었던 한국은 이번 G7 정상회의 참여를 통해 ‘민주주의 회복력’을 갖춘 모범국으로서의 저력을 전 세계에 알렸다. 또한, 우선적으로 유사 가치국인 G7과의 우호 관계를 재확인하며 이재명 정부의 대외 전략 기조인 ‘실용외교’의 성공을 위한 기반을 성공적으로 다졌다는 평가다.
이번 G7 정상회의 참석은 한국이 직면했던 외교적 난관을 극복하고 국제 무대에서 다시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경제 성장과 민주주의의 실현을 통해 미국으로부터 칭송받았던 한국은 이전 정부에서 국격이 실추되고 외교적으로 소외되는 어려움을 겪었으나, 이번 정상회의 참석을 통해 국제사회의 신뢰를 회복하고 한국의 위상을 단숨에 회복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회의에서 서방 선진 7개국 정상은 물론, 초청받은 여러 국가의 정상들과 폭넓은 대화를 나눴다. 특히 에너지 및 정보통신기술(IT) 관련 정상 회의에 참석하여 에너지 안보와 핵심 광물 공급망 안정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분야에서의 한국의 국제 협력과 기여를 다짐했다. 이러한 행보는 한국이 국제 질서 운영 거버넌스를 함께 주도하는 책임 있는 강대국의 모습을 보여주는 동시에, 향후 G7 확대 시 입회할 수 있는 최우선 국가로서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동맹의 굳건함을 다지고자 했던 노력이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위기 상황으로 인한 급거 귀국으로 인해 후일을 기약하게 된 점은 다소 아쉬운 부분으로 남는다. 그러나 이틀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이재명 대통령은 총 9건의 정상회담을 수행하며 우호 협력 강화와 무역 등 현안 논의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이끌어냈으며, 성공적인 외교 데뷔전을 치렀다.
특히, 남아공의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과는 교역 투자 및 에너지 협력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고, 호주의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와는 방산 및 자원 공급망 확보를 위한 호혜적인 협력 진흥과 한반도 평화 및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소통 강화를 약속했다. 또한, 브라질의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대통령과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와는 어려운 환경을 극복한 경험을 공유하며 진솔한 관계를 맺었다. 이들 정상들과의 만남은 브릭스(BRICS) 국가들과의 협력 강화 가능성을 시사하며, 한국 외교의 외연을 확장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또한, 정권 교체로 인해 불확실성이 제기되었던 한·일 관계 역시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가능성을 보였다. 이재명 대통령은 일본의 이시바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 우호 관계 지속과 경제 협력 증진, 그리고 미래지향적인 관계 발전을 위한 의미 있는 첫걸음을 내디뎠다. ‘과거 문제는 잘 관리하고 협력의 문제를 더 키워서 미래지향적인 관계를 구현하자’는 취지로 셔틀 외교 복원 및 한·미·일 공조 유지·발전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며 성숙한 한·일 관계의 기반을 조성하고자 했다.
이와 더불어 멕시코의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과는 경제 협력을 포함한 양국 관계 강화를, 영국의 키어 스타머 총리와는 북핵 문제 해결 협력을 약속했다. 유럽연합(EU) 지도부와의 정상회담에서는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브뤼셀에서의 한-EU 정상회담 개최 제안을 받았다. 마지막으로 개최국인 캐나다의 마크 카니 총리와는 G7과의 파트너십 강화, 안보, 방산, 에너지 안보 등 협력을 더욱 심화하기로 합의하며 공식 일정을 마무리했다.
이처럼 서방 선진국들과의 관계 구축으로 실용 외교의 첫걸음을 성공적으로 내디딘 이재명 대통령 앞에는 또 다른 외교 과제들이 놓여 있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 타결 및 동맹 관계 재정립, 중국과의 관계 정상화, 그리고 러시아와의 관계 복원 등 복잡한 대외 관계 속에서 한국의 외교적 자율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오는 10월 경주에서 개최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의 성공적인 개최 역시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또한, 완전히 단절된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해 자강력 증진과 한·미 동맹 강화를 기반으로 실효적인 확장 억지 태세를 갖추는 가운데, 남북 간 소모적인 대립을 완화하고 소통을 재개해야 한다. 나아가 한반도 정세 안정화와 평화 회복, 북·미 대화 재개 지원, 남북 간 호혜적 교류·협력 실현, 그리고 북핵 문제 해결을 통해 남·북·미 3자 간 선순환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평화 통일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이재명 정부가 안고 있는 중대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