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적으로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한류 현상이 단순히 일시적인 유행이 아닌, 깊이 있는 문화적 실체로서 자리매김하고 그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근본적인 고찰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한류의 탄생 배경과 현재의 확산 메커니즘, 그리고 미래 발전 방향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동국대 한류융합학술원장 정길화 원장은 김춘수, 서정주, 김용락, 나짐 히크메트의 네 편의 시를 통해 한류의 과거, 현재, 미래를 탐색하며 그 본질에 대한 통찰을 제시했다.
정 원장에 따르면, 한류의 시작은 마치 김춘수의 시 ‘꽃’에서처럼 ‘이름을 불리는 순간’ 실체가 되는 과정과 같다. 과거 한국 드라마 수출이나 K팝의 해외 팬덤 형성 초기에는 그저 ‘몸짓’ 또는 ‘현상’에 불과했으나, 세계가 이를 ‘한류(Hallyu)’라고 명명하고 인식하면서부터 비로소 하나의 문화적 주체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어떤 존재든 그것을 인식하고 이름을 부여함으로써 비로소 실재하게 된다는 인식론적 선언과도 맞닿아 있다. 한류는 단순히 수동적으로 소비되는 콘텐츠가 아니라, 세계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불리는 이름’을 통해 정체성을 부여받고 관계의 출발을 맺은 결과물이라는 분석이다. 이러한 ‘정의’와 ‘호명’의 과정을 통해 한류는 더 이상 낯선 현상이 아닌, 세계와 함께 호흡하는 하나의 문화적 실체로 인식되게 되었다.
이어, 한류가 오늘날의 위상에 이르기까지 겪었던 고통과 기다림의 시간을 서정주의 시 ‘국화 옆에서’에 빗대어 설명한다. 이는 한류가 하루아침에 피어난 꽃이 아니라, 일제 강점기, 분단, 산업화, 민주화 등 한국 현대사가 겪었던 수많은 역사적 아픔과 인고의 시간을 거쳐 응결된 문화적 승화의 결과물임을 강조한다. 마치 봄부터 울어온 소쩍새와 먹구름 속 천둥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한 배경이 되었듯, 한류 역시 한국 사회의 굴곡진 역사와 기억이 맺은 ‘기억의 꽃’이라는 것이다. 이는 한류가 단순한 문화상품을 넘어 한국 사회가 겪은 시련과 성공, 회복의 총체적이며 문화적인 결정체임을 시사하며, 이러한 ‘기억의 꽃’이 누구를 위해 피어났는지, 즉 한국 사회 내부의 치유를 위해서인지, 세계를 향한 몸짓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현재 한류의 폭발적인 확산 동력은 김용락 시인의 ‘BTS에게’에서 나타나는 ‘언어를 넘어 마음을 두드리는 공감’의 힘으로 설명된다. BTS가 “LOVE MYSELF, LOVE YOURSELF!”라는 메시지와 함께 “인간은 자신의 이야기를 할 때 비로소 가슴이 뛰고 인간이 된다”는 진솔한 고백으로 전 세계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듯이, K-콘텐츠의 진정한 힘은 완성도나 스타일을 넘어선 ‘진정성’에 있다는 것이다. K-콘텐츠는 단순히 잘 만들어진 문화상품이 아니라, 진심으로 자기 이야기를 들려주는 데서 출발하며, 팬덤은 이러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문화의 공동 창작자로 발전한다. ‘다른 언어로도 마음속을 두드리는’ K-팝, K-드라마, K-콘텐츠의 울림은 바로 이러한 진정성에서 비롯되며, 이는 한류가 ‘세계의 감수성’과 접속하는 핵심 비결이라고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한류의 미래는 나짐 히크메트의 시 ‘진정한 여행’에서처럼 아직 쓰이지 않은 시, 아직 불리지 않은 노래처럼 ‘지속 가능한 여정’에 달려 있다고 전망한다. 한류는 현재 진행형이며, 절정에 이르렀다고 자만하거나 자족해서는 안 된다는 경고다. 앞으로의 한류는 단순한 외연 확장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가치, 다문화적 포용, 인간성의 회복을 추구하며 문명사적 대안 역할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K-콘텐츠가 세계를 향해 말하는 동시에 한국 사회 안의 진실을 담아내는 ‘진정한 여행’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창·제작자에게는 영감과 상상을, 정책 담당자에게는 기획과 비전을 제공하며, 궁극적으로 수용자들에게 깊은 감동을 주는 방향성을 잃지 않아야 할 것이다. 한류는 오늘도 만들어지고 전파되고 수용되고 있지만, 그 의미가 ‘소모’가 아닌 ‘가치’로 지속되기 위한 노력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