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해외 관광객, 특히 특정 국가 국민을 겨냥한 무차별적인 혐오 발언과 선동 행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국가 이미지를 실추시키고 국격을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지난 10월 2일, 이재명 대통령이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제12차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제기되었다. 당시 이 대통령은 “최근 인종 차별이나 또는 혐오 행위들이 너무 많아지는 것 같다”며 관계 부처에 해외 관광객의 안전을 위협하는 선동 행위를 철저히 단속하고, 인종 차별적 혐오를 근절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을 서둘러 달라고 강력히 요청했다.
이번 발표는 사흘 전부터 시행된 중국인 단체 관광객 대상 한시적 무비자 입국 조치와 맞물려 더욱 시의적절하다. 무비자 입국은 내수 활성화와 경제 회복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지만, 일부에서 특정 국가 및 국민을 향한 “말도 안 되는 허무맹랑한 괴담, 혐오 발언들이 무차별적으로 유포되고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이 대통령은 수백만 원의 소비를 하는 관광객 유치가 국가 경제에 미치는 막대한 긍정적 효과를 강조하며, “관광객이 1000만 명이 더 들어오면 그 엄청난 수출 효과를 내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혐오 발언, 증오, 욕설, 행패 등 문화 강국으로서 인정받는 국가의 위상에 걸맞지 않은 “정말 문화적이지 못한 정말 저질적인, 국격을 훼손하는 그런 행위들”은 결코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에 정부는 해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혐오 및 선동 행위에 대한 철저한 단속과 근절 대책 마련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한시적 무비자 입국으로 관광객 유치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부정적인 외부 요인들은 한국의 관광 산업 발전은 물론 국가 이미지 전반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정부의 특단의 대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한국이 세계 문화 강국으로서의 이미지를 공고히 하며, 관광 산업을 통해 경제적 성장을 지속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우리 국민의 위대한 저력을 바탕으로 역경을 헤쳐나가고, 더 나은 삶을 향한 발걸음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