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신분증이나 메신저 앱이 디지털 범죄의 표적이 되면서 개인의 삶이 송두리째 흔들리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기기 사용에 상대적으로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이 이러한 범죄에 더욱 취약한 상황에 놓여 있어, 이에 대한 실질적인 예방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우정사업본부가 전국 농어촌 지역의 고령층을 대상으로 디지털 교육을 시행하며 생활 속 범죄 예방에 발 벗고 나섰다.
이러한 디지털 범죄의 위험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 있었다. 작년 여름, 한 어르신은 딸로 가장한 카카오톡 메시지를 받고 의심 없이 신분증 사진을 보내고 링크를 클릭하는 일을 당했다. 해당 링크를 통해 휴대폰에 악성 앱이 설치되었고, 범죄자는 어르신의 신분증 정보를 이용해 대포폰 2대를 개통하고 10개가 넘는 온라인 사이트에 가입했다. 더불어 어르신의 본래 휴대폰 번호를 이용해 50만 원의 소액결제까지 진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행히 인터넷뱅킹을 사용하지 않아 추가적인 금전적 피해는 막을 수 있었지만, 이 사건은 평범한 일상이 한순간에 무너질 수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신분증 분실 신고, 악성 앱 삭제, 개인정보 노출 등록 등 수습 과정에서 이미 돌이킬 수 없는 피해가 발생했음을 인지해야 했다.
이처럼 전화 한 통, 메시지 하나로 일상을 파고드는 ‘생활 속 범죄’가 보이스피싱 등의 형태로 진화하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우정사업본부는 지난 4월부터 부산, 강원, 충청 지역의 농어촌 고령층을 대상으로 ‘우체국 디지털 교육’ 시범 운영을 시작했다. 이 교육은 보이스피싱 예방은 물론, 키오스크, 모바일뱅킹, ATM(현금인출기) 사용법 등 고령층의 실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시범 운영을 거쳐 올해 하반기부터는 전국 농어촌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 교육은 거창한 기술을 동원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정보 공유와 교육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디지털 범죄의 위협 속에서 신분증 하나, 카카오톡 메시지 하나로도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시대에, 이러한 기초적인 디지털 활용 능력 교육은 어르신들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 이웃 모두를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패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정사업본부는 앞으로도 전국 곳곳에서 어르신들과 직접 만나 소통하며, 이 작은 교육이 사회 전반의 안전망 강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